매일신문

경북TP 입주 ㈜누리기술…배터리 테스트 장비 차별화

지난 17일 오후 경북테크노파크 벤처공장 2층. 40여평의 연구실이 시끌벅적하다.

한켠에서는 바이어를 맞고 있었고 또다른 쪽에서는 배터리 테스트값이 예상과 크게 다르다며 사장 김금수(45)씨의 목소리가 높아졌다. 이같은 시행착오는 다반사인 듯 연구원들은 다시 프로그램을 조작하고 테스트 채비를 했다. 배터리 시험장비 업체인 (주)누리기술은 이렇게 미래를 준비하고 있었다.

누리기술은 사장 포함 직원 10명, 올 해 매출 20억원의 소기업이지만 국내외 배터리 관련 시험장비 수요는 크게 증가할 것으로 전망, 직원들은 꿈에 부풀어 있다.

또 배터리를 충·방전시키면서 그 특성과 상태를 모니터링해 제조관리자들에게 보여주는 2차전지 충·방전 시험기를 생산하는 기술은 국내외 경쟁업체보다 앞서 있다.

국내 경쟁업체 한 곳이 있지만 기술을 차별화 했고 가격도 일본 도요시스템, 미국 맥코어 등 외국 경쟁업체의 60~70%선. 포항 광가속기 모니터링 시스템도 이 회사 작품이다.

누리기술은 배터리 시험장비에 주력해 왔지만 앞으로는 양산제품 개발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김 사장은 "2차 전지는 휴대폰, 노트북, PDA 등 이동통신기기의 폭발적인 증가로 앞으로 10대 성장산업의 하나가 될 것"이라며 "시장 흐름을 잘 읽어 양산제품을 개발, 독자브랜드로 출시하겠다."고 밝혔다.

김 사장은 자동차내 전자 기기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에 눈길을 돌리고 있다. 특히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 전기스쿠터 등에 대한 수요가 급증할 것으로 보고 새 시장상황에 대응한 배터리 충·방전기 시험기를 연구하고 있다.

배터리와 기기의 회로를 연계해서 테스트할 수 있는 기술로 어느 정도 완성단계에 와 있다고 밝혔다.

또 주행장비에 장착하지 않고도 실험실에서 기계에 부착된 상태처럼 배터리 특성 패턴을 평가할 수 있는 시뮬레이터도 개발중에 있다. 시뮬레이터가 개발되면 시간과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돼 대기업 납품은 물론 수출길도 열릴 전망.

김 사장은 LG정보통신에 근무하다 기술인이 되고 싶어 회사를 박차고 나왔다. 월급이 줄어들었지만 공장자동화 관련 회사에서 기술을 익히고 이어 프리랜서 개발기술자로 나서 몸으로 부대끼며 기술을 익혔다.

지난 1999년 회사를 설립한 김 사장은 시행착오도 많이 겪었다. 고생해서 개발한 제품을 사업화 하는데는 장애가 많았다. 꼭 필요한 제품이었지만 '기술자의 시각'으로만 접근했다가 막상 사업화에는 실패를 거듭했다. 또 자금조달, 마케팅 등 경영분야에도 서틀러 처음에는 고생도 많이 했다.

"이제는 시장을 보고 시장에 맞춰가는 쪽으로 제품을 개발하는 눈을 갖게 됐어요."

김 사장의 또다른 고민은 인력확보. 우리나라 중소기업 모두가 겪고 있는 일이지만 기술 인력은 아예 대기업 연구소에 있거나 창업을 하고 그나마 인력을 키워놓으면 대기업으로 이동하는 것을 많이 경험했다.

그러나 김 사장은 서두르지 않는다. 다소 느릴 지는 몰라도 시장이 인정하는 기술력 있는 제품을 생산하면 열매는 반드시 맺힌다는 신념을 갖고 있다.

김 사장은 "다양한 에너지 소스를 축적해 가정용 전력이나 레저용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배터리나 가정 연료전지 시험장비 개발, 고속제어계측을 활용하는 각종 시뮬레이터 개발로 회사를 키우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