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자회담 美대표단 한국계 3인 역할 주목

'피는 국적보다 진할까?'

1년 넘는 곡절 끝에 베이징에서 재개되는 북핵 6자회담의 미국 측 대표단에는 그 사이 상당한 변화가 있었다.

크리스토퍼 힐 수석대표는 그대로지만 작년까지 차석대표를 맡았던 조셉 디트러니 대북협상 대사가 빠지고 빅터 차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아시아 담당 보좌관이 차석대표로 올라갔다.

또 국방부 인사에서 차관보 승진설이 돌고 있는 리처드 롤리스 부차관도 6자회담 대표직을 후임자에게 물려줬다.

여기에 올 여름 국무부 한국과장으로 발탁된 성 김(한국명 김성용) 씨가 대표단에 새로 합류, 미국의 6자회담 '공식 대표단(official delegation)'은 힐 수석대표에 빅터 차 차석대표, 성 김 과장, 국방부 인사 1명 등 4명으로 짜였다.

4명의 공식 대표단 중 차석 대표를 포함한 2명이 한국계인 점이 눈에 띈다. 게다가 올 여름부터 국무부 북한팀장을 맡고 있는 유리 김 씨도 총 10여 명으로 구성된 미국 대표단에 포함돼 핵심 실무역할을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6자회담 미국 대표단의 일원으로 북핵 협상에 나서는 빅터 차, 성 김, 유리 김 씨는 모두 한국계로 한국 문제에 정통하고 한국말도 잘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두 김 씨는 한국 근무 경험도 있다.

북한과 힘겨운 협상을 벌여야 하는 미국 대표단에 한국계 인사들이 많이 들어갔다고 협상방향이 달라질 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은 모두 미국인으로 미국 정부의 입장과 지침에 따라 협상에 임하는 건 당연하기 때문.

하지만 보통 한국인들과 다를 게 없는 외모에 한국말을 자유롭게 구사하는 이들이 미국 대표로서 북한 측과 마주앉는다는 자체만으로도 회담 분위기에 미치는 영향을 과소평가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무엇보다 수십 년간 쌓여온 북미 간의 두터운 불신의 벽을 허무는 게 북핵 협상 타결의 중대 과제 중 하나로 꼽힌다는 점에서 6자회담 미국 대표단에 포진한 한국계 대표 3인의 향후 활약에 관심과 기대가 모이고 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