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여 년 서력의 칠순 서예가가 자신의 서예작품 전시장을 열면서 효행상과 장학재단을 설립했다. 대구 앨범산업의 산증인이기도 한 서예가 김재현(73) 씨는 20일 오전 11시 대구시 동구 신서동 사무실에 '서예작품 상설전시장' 개소식을 연다. 고희를 넘긴 서예가이자 사업가인 김 씨의 전시장 개소식은 '효행상 시상식', '장학금 수여식'과 함께 열려 더욱 큰 의미를 가진다.
"가난한 농가에서 성장했던 기억을 떠올릴 때마다 항상 어려운 이웃을 도와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김 씨의 복지사업은 앨범 제조업체(못잊어 앨범 상신물산)를 운영하던 1995년부터 시작됐다. 그 후 노인사랑방(1996)도 운영했고, 1997년부터는 학교를 통해 장학금 지원사업도 펼쳐왔다.
그러던 그는 지난해 연말 자신의 장학사업(김재현장학회)을 재단법인화하기로 결정했다. "처음에는 집안 식구들의 반대도 없지 않았지만, 소신을 굽히지 않았지요." 장학회 이름은 자신의 호를 따서 '여암(如巖)장학회'로 했고, 올 초에 재단법인 설립허가도 냈다.
(재)여암장학회의 첫 수혜자는 대구 소재 초등학교 학부모 3명과 고교생 35명. 이들에게 500만 원씩의 효행상금과 50만~100만 원씩의 장학증서를 각각 전달할 예정이다.
고 동애(東涯) 소효영 선생에게 사사한 김 씨는 그동안 장학금을 지원한 학생들 집에 가훈 써주기 활동도 펼쳐왔다. 이번 상설전시장에 먼저 선보이는 작품은 4첩 병풍 등 100여 점. 일반인은 물론 개소식에 참석할 서예가들에게 작품을 내보인다는 게 그저 "부끄러울 따름"이라고 했다.
그는 지난해 11월 30여 년의 서예인생을 결산한 서예집 '내 가슴에 새겨야할 이 한 구절'을 펴내기도 했다. 옛 성현의 귀한 말씀을 엄선해 쓴 작품과 해설을 곁들인 '아버지는 아들에게 주고 싶고, 아들은 아버지께 드리고 싶은 책'이라고 한다.
김 씨는 당장은 전시장의 작품을 판매하고 싶지 않지만, 시절인연이 닿으면 자선경매 행사라도 한번 열어볼 요량이다. 이 또한 '누구에겐가 무엇을 베풀 수 있을까?'라는 고민에서 나온 것이다. 053)963-9963.
조문호기자 news11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최민희, 축의금 돌려줘도 뇌물"…국힘, 과방위원장 사퇴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