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4일 열린우리당이 전국 대의원 대회를 통해 통합신당 구성안을 추인하고 탈당파 및 민주당 일각에서 신당추진을 본격화 하는 등 정계개편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그러나 '대선후보 단일화'라는 공통 명제에는 이견 없으나 제 세력마다 창당과정에 대한 생각이 달라 향후 신당 작업이 어떻게 진행되는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우선 열린우리당 차원에서 검토하는 '외부세력 중심의 신당 추진안'이 거론될 수 있다. 탈당파 및 민주당, 민주노동당 등 거국 여권 편대를 구성해 새로운 정치세력을 만든다는 것. 외부세력이 중심이 되는 새로운 정당창당은 비례대표 의원들의 의원직 유지가 가능하고 지난 2000년 김대중 대통령이 새천년민주당을 창당할 때 쓰던 방법이다.
다음으로는 '당 대(對) 당 통합'이 이뤄질 수 있다. 정치세력을 하나로 묶어 시너지 효과를 노리는 것으로 지분 배분 방식만 결정된다면 가장 쉬운 통합 방법이다. 지난 1990년 이같은 방법으로 야3당 합당을 통해 창당한 민주자유당은 대선에서 승리했다.
이와 함께 탈당파 의원들이 주장하는 '헤쳐 모여식 신당' 작업도 신당창당 방법의 일환으로 꼽힌다. 정계개편에 참여할 모든 정치인들이 탈당해 신당의 '깃발' 아래 다시 모이자는 것. 이는 지난 1986년 총선에서 크게 성공한 김영삼-김대중 전 대통령의 신민당을 모델로 한 것이다.
하지만 세 가지 방법 모두 약점은 있다. '외부세력 중심안'은 정치적 구심력이 없어 신당 효과가 불분명하다. '당 대 당 통합안'도 이미 여러 번 나왔던 구식 시나리오라서 참신성 면에서는 크게 떨어진다. '헤쳐 모여식 창당'도 고 건 전 국무총리 등 힘있는 외부세력이 사라짐에 따라 점차 약발이 떨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따라서 일부 전문가들은 '정계개편은 현재 거론되고 있는 몇 가지 방법이 복합적으로 진행되거나 특정상황에 맞는 모델이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등 다소 복잡하게 진행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박상전기자 mikypar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