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영화 제작사들 "3,4월은 잔인한 달"

매년 신학기가 시작되는 3월과 4월은 전통적인 영화 비수기로 꼽히지만 올해는 이런 현상이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보인다.

이런 비관론은 설 연휴 관객 수에서부터 짐작할 수 있었다.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기준으로 설 주말 흥행 1위부터 4위까지의 영화가 동원한 관객은 100만 명을 조금 넘어, 지난해 설 연휴 때 상위 4편이 불러모은 200만 명의 절반 정도에 불과했다. 극장에 몰린 전체 관객 수도 연휴 첫날인 2월17일 60만, 18일 80만, 19일 100만 명 선으로 평소 연휴의 100만~140만 명에 한참 못 미치는 수준이었다. 평년 설에 비해 관객 수가 절반가량 줄어든 것.

이런 분위기를 피하기 위해 개봉 영화 역시 급감했다. 다음달 개봉하는 한국영화로는 1일 '좋지 아니한가', 15일 '쏜다', 29일 '뷰티풀 선데이' 등 겨우 세 편만 대기하고 있다. 매주 2,3편씩 앞다투어 개봉하던 한국영화들은 자취를 감추고 대신 외화들이 빈자리를 채우고 있다.

게다가 이들 영화는 고만고만한 수준으로, 관객을 끌어들일 스타가 부족하다. 관객의 눈길을 끌만한 작품이 없었다는 지적이 많다. 현재 상영되는 영화들 대부분이 정작 작품이나 흥행성 면에서는 엇비슷한 작품들이 많다는 것. 장르도 휴먼코미디로 묶을 수 있을 만큼 비슷한 영화 일색이다. 1,2월에 흥행에 성공한 영화들은 '미녀는 괴로워', '1번가의 기적', '복면달호' 등으로, 내용상 휴먼드라마와 닿아 있다. 게다가 하나같이 '착한 결말'을 이끌어내고 있어, 관객들은 식상해하는 분위기다.

영화 관계자들은 이런 분위기가 5월 이후까지 이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5월에는 '스파이더맨 3', '캐러비안의 해적 3' 등 할리우드 대작 속편들이 쏟아져, 한국영화의 설 곳이 줄어든다는 것. 이 때문에 당분간 대작 한국영화를 만나기는 힘들어질 것으로 보인다.

최세정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