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조화
이달균
꽃들이 영안실에 부동자세로 서 있다
목발에 의지한 덧없고 창백한 도열
언제나 벽을 등진 채 배경이 되고 만다
관계를 맺지 못한 死者와의 시든 동행
한번도 저를 위해 피고 지지 못했던
목 잘린 꽃들의 장례, 殉葬은 진행형이다
대궁이가 잘린 흰 꽃들이 주로 근조화로 쓰입니다. 그러니까 시간이 지날수록 창백한 도열이 될 수밖에 없지요. 행간이 자못 암울해 보이지만, 워낙 치밀한 구도가 시선을 놓지 않는군요.
삶과 죽음의 어름에서 풀어낸 생명 이미지의 밀도. 영안실에 부동자세로 선 꽃들은 생명의 핏기가 가신, 벽을 등진 죽음의 배경으로 존재합니다. 부음이 전해지기도 전에 이미 '목 잘린 꽃들의 장례'. 이제 그들을 기다리는 건 '사자와의 시든 동행'뿐입니다.
생명 있는 모든 것은 다 꽃입니다. 애시당초 꽃으로 세상에 옵니다. 그러나 덧없는 떠돎 끝에 언젠가는 목이 꺾인 채 버려지는 존재, 존재의 꽃. 화려한 문명의 뒤란에서 순장은 늘 이렇게 '진행형'입니다.
오늘의 조문객이 내일은 또 조문객을 맞기도 할 테지요.
박기섭(시조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