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홀로서기'의 시인 서정윤이 '사랑'을 주제로 삼은 시편을 모아 해설을 내놓았다.
서정윤은 "시도 아닌 것들을 시라고 쓰던 시절이 있었다. 그 누구에게도 구원의 손길은 오지 않았고, 결국 스스로 조금씩 눈을 뜰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눈이 뜨이니까 다른 사람의 시가 보이기 시작했다."고 털어놓았다.
'서정윤의 홀로서기 그 이후-견딜 수 없는 사랑은 견디지 마라'(이가서 펴냄·8천900원)는 '그대만큼 사랑스러운 사람을 본 일이 없다.'로 시작하는 '편지'를 비롯해 시인 50명의 가슴 저민 사랑의 시들을 담았다. 그리고 이들 시에 짧지만 감각적이고 철학적인 단상을 붙였다.
사진작가 신철균이 보탠 흑백사진은 아이들의 순수한 표정, 그리고 추억과 향수를 부르는 그 자체만으로 한 편의 이야기이자 시이다. 시인들은 저마다의 감성과 언어로 사랑의 기쁨과 고통, 환희와 힘겨움을 빚어냈다.
서정윤은 그의 시 '묘비명'에서 '사랑은 기쁨의 순간보다 고통의 나날이 더 많은 것을…. 하지만 짧은 환희가 머나먼 날들의 힘겨움을 버틸 수 있는 힘을 준다는 사실을 알았던 사람'이라며 그의 사랑관을 드러내고 있다.
고재종은 사랑을 '세상에게 가장 아름다운 상처'라고 은유했고, 조은은 '사랑한다 사랑한다 사랑한다 사랑한다'고 한층 직설적으로 사랑을 토로하고 있다. 안도현은 또 사랑을 매미에 빚대 '너의 옆에 붙어서 뜨겁게 우는 것'이라고 정의한다.
오규원의 '한 잎의 여자'를 두고 서정윤은 세상의 수많은 여자들 중에서 나와 관계된 단 한 명과 나누는 대화의 즐거움을 이야기한다. 시인 50명의 사랑 이야기를 들어보자.
석민기자 sukmi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택배 멈춘 새벽, 시작도 못 한 하루…국민 분노 치솟는다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원전 재가동 없이는 AI 강국도 없다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실핏줄 터졌다"는 추미애…주진우 "윽박질러서, 힘들면 그만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