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눈속임 정치로는 국민 歡迎받지 못해

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 경선이 오늘 막을 내렸다. 신당이 노린 흥행 드라마는 국민 외면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한 달 동안 치러진 전국 16곳 지역경선 평균 투표율이 고작 16.2%였다. 선거인 168만 명 가운데 투표소에 나온 사람은 27만 명이다. 비밀투표 위배 논란이 있는 3차례 휴대전화 평균 투표율이 70%대로 나와 그나마 체면을 살린 셈이다. 애초부터 300만 명 선거인단 목표 자체가 무리수였으며, 경선 과정마저 국민을 끌어들이지 못한 결과다. 대선용으로 위장 창당한 신당이 벼락치기로 벌이는 경선 쇼를 국민들이 훤히 꿰뚫어 본 것이다.

신당은 후보 각자가 능력을 발휘해 선거인단을 모집하도록 한 데서부터 경선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었다. 후보 간 모집 경쟁은 '명부떼기' '차떼기' '폰떼기'라는 기상천외한 변칙과 불법을 불렀다. 가짜 선거인단이 쏟아지고 부정 시비에 후보 간 고소'고발이 기승을 부렸다. 급기야는 경선 중단 사태와 '원샷 경선'이라는 파행으로 치달았다. 이 과정에서 당 지도부는 그때그때 다시 원칙을 정하고 말썽을 덮는 임시변통으로 끌고 갔다. 명색이 원내 제1당이 원칙도 없고 대책도 세워놓지 않은 채 얼렁뚱땅 대통령 후보를 뽑은 것이다.

신당 경선의 최대 웃음거리는 지역'연령별 인구 비례를 무시한 선거인단이다. 정동영 후보의 텃밭인 전북이 경기도보다 선거인단이 더 많고 전국에서 서울 다음이었다는 것은 코미디다. 경선은 똑같이 적용하는 기본원칙 위에서 득표 경쟁을 해야 전국적 대표성을 가질 수 있다. 자기 동네 잔치를 한 후보가 국민 후보라고 하면 웃기는 거 아닌가.

낮은 정당 지지율과 낮은 경선 투표율 속에 뽑힌 후보는 상처가 더 커 보인다. 그들끼리의 진흙탕 조직선거가 가져온 결과다. 국민을 눈속임하는 정치는 환영받지 못한다는 교훈 아닌 교훈을 남긴 신당 경선이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