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합민주신당 대선 후보 경선이 오늘 막을 내렸다. 신당이 노린 흥행 드라마는 국민 외면으로 실패하고 말았다. 한 달 동안 치러진 전국 16곳 지역경선 평균 투표율이 고작 16.2%였다. 선거인 168만 명 가운데 투표소에 나온 사람은 27만 명이다. 비밀투표 위배 논란이 있는 3차례 휴대전화 평균 투표율이 70%대로 나와 그나마 체면을 살린 셈이다. 애초부터 300만 명 선거인단 목표 자체가 무리수였으며, 경선 과정마저 국민을 끌어들이지 못한 결과다. 대선용으로 위장 창당한 신당이 벼락치기로 벌이는 경선 쇼를 국민들이 훤히 꿰뚫어 본 것이다.
신당은 후보 각자가 능력을 발휘해 선거인단을 모집하도록 한 데서부터 경선을 엉망진창으로 만들었다. 후보 간 모집 경쟁은 '명부떼기' '차떼기' '폰떼기'라는 기상천외한 변칙과 불법을 불렀다. 가짜 선거인단이 쏟아지고 부정 시비에 후보 간 고소'고발이 기승을 부렸다. 급기야는 경선 중단 사태와 '원샷 경선'이라는 파행으로 치달았다. 이 과정에서 당 지도부는 그때그때 다시 원칙을 정하고 말썽을 덮는 임시변통으로 끌고 갔다. 명색이 원내 제1당이 원칙도 없고 대책도 세워놓지 않은 채 얼렁뚱땅 대통령 후보를 뽑은 것이다.
신당 경선의 최대 웃음거리는 지역'연령별 인구 비례를 무시한 선거인단이다. 정동영 후보의 텃밭인 전북이 경기도보다 선거인단이 더 많고 전국에서 서울 다음이었다는 것은 코미디다. 경선은 똑같이 적용하는 기본원칙 위에서 득표 경쟁을 해야 전국적 대표성을 가질 수 있다. 자기 동네 잔치를 한 후보가 국민 후보라고 하면 웃기는 거 아닌가.
낮은 정당 지지율과 낮은 경선 투표율 속에 뽑힌 후보는 상처가 더 커 보인다. 그들끼리의 진흙탕 조직선거가 가져온 결과다. 국민을 눈속임하는 정치는 환영받지 못한다는 교훈 아닌 교훈을 남긴 신당 경선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