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정부가 할 수 없는 일을 지방정부가 대신하는 시대가 왔습니다. 미묘한 정치적 상황, 군사·안보적 상황 등에 얽매여 국가 간에는 풀지 못하는 문제를 지방정부끼리는 충분히 매듭지을 수 있잖아요? 우리 지방정부도 더 이상 중앙정부의 처분에만 기대는 비자발적인 사고방식에서 벗어나 지방화시대를 활짝 여는 데 적극적으로 나서야 합니다."
동북아시아자치단체연합(NEAR) 이해두(67·사진) 사무총장은 "우리나라가 앞으로도 계속 번영의 길을 걷기 위해서는 이웃 나라들과의 공존과 협력이 필수지만 정치적·군사적·민족감정 등의 불리한 여건으로 둘러싸여 있는 우리로서는 중앙정부의 노력만으로 해결이 힘든 만큼 지방정부들이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그 첫걸음이 지난 1996년 한국, 중국, 일본, 러시아 등 동북아시아 4개국 29개 지방자치단체가 모여 결성한 동북아시아자치단체연합이라고 강조한 이 사무총장은 동북아자치단체연합 출범 11년째를 맞는 지금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17일 대구 인터불고호텔에서 열린 '2007 동북아국제경제포럼'이 지방정부가 앞장서서 서로 굳게 닫힌 마음의 벽을 허문 첫 시도라는 것.
그는 "국가 간 정치적인 이해관계에서 간섭이 덜한 경제분야에서부터 협력을 모색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했다."며 "지방정부끼리의 경제협력을 시작으로 통상·문화·환경·과학기술·일반교류 등 전반으로 확대해나가면서 국가 간의 변화를 도모하자는 것이 이번 행사의 취지"라고 설명했다.
올해 처음 열린 동북아국제경제포럼에는 김관용 경북도지사를 비롯해 이와쿠니 데츤도 일본 중의원 의원과 옙뚜센코 극동바이칼경제협의회 사무총장, 지앙따밍 중국 산둥성장, 도우동발지르 중앙몽골개발청장 등 5개국 지방정부를 대표하는 수장들이 참석해 '동북아 지방정부 간 경제협력 증진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EU나 NAFTA를 보세요. 전 세계는 이미 인근 지역을 권역별로 묶는 경제블록화를 통해 발전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더 이상 해묵은 정치적 이해관계에 얽매여 있을 때가 아닙니다. 동북아가 힘을 합쳐 이러한 대세에 맞서야 합니다."
그는 지방정부의 역할이 여기에 있다고 강조했다. 중앙정부의 준비가 덜 돼 있다면 지방정부가 먼저 나서서 국가를 변화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이 사무총장은 "현재 북한 함경북도와 나선직할시(나진·선봉)까지 가세하는 등 동북아시아 6개국 65개 지방자치단체로 이뤄진 명실상부한 국제기구로 발돋움한 동북아자치단체연합 상설사무국이 포항에 있고, 동북아 지방정부 간의 경제협력을 모색하는 첫 무대를 대구에서 열었습니다. 이 점을 잘 활용하면 우리 지역이 동북아 중심거점으로 나설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남북정상회담을 계기로 남북 간의 화해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상황에서 북한 지방정부 간의 외교도 주목해야 한다."고 했다.
이 사무총장은 "비록 이번 경제포럼에는 북한이 불참했지만 그동안 북한 회원단체인 함경북도와 나선직할시와의 지속적인 만남을 통해 경제공동체 구성에 이미 합의를 이끌어내는 등 교류 물꼬를 트고 있다."며 "내년 경제포럼에는 북한의 참가를 설득하고 총회도 북한에서 열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젠 지방이 '국가발전의 힘'입니다. 21세기의 특징은 세계화가 지방화로 나타난다는 점이지요. 이른바 글로컬라이제이션(glocalization)의 시대입니다. 세계 3대 경제축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동북아의 무한한 성장잠재력 중심에 대구·경북이 앞장서야 합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