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생님, 우리 아이는 2학년인데요. 항상 눈은 반을 감고 일기를 써요. 그것도 버릇인가 봐요. 어떻게 하면 고칠 수 있을까요?"
지난 봄방학 때 거제도에서 학부모들에게 일기쓰기 강의를 한 뒤 나온 질문이다. 그 학부모 얼굴에는 걱정이 가득했다. "아이가 일기를 언제 씁니까?", "오후 9시에서 10시쯤에 써요. 어떨 때는 11시 넘어서 쓸 때도 있어요.", "그러니까 잠자기 바로 전에 쓴다는 말이네요.", "예, 그렇습니다.", "잠이 올 때 일기를 쓰게 했네요. 이제부턴 낮에 쓰도록 해보세요.", "낮에요? 하루 일과도 덜 마친 낮에요?"
학부모는 낮에 일기를 쓰라는 내 말을 처음에는 이해 못했다. 일기는 당연히 하루 일과를 다 마친 밤에, 그것도 잠자기 바로 전에 써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렇게 배워왔으니까 아이에게도 당연히 그렇게 가르친 것이다.
일기는 하루 일을 쓰는 글이니까 하루 일을 다 마친 시각에 쓴다. 전혀 틀리지 않는 말인 듯하다. 그렇지만 일기를 직접 한 번 써보자. 과연 꾸벅꾸벅 졸면서 일기를 쓸 수 있는지.
잠과 일기를 싸움 붙여놓으면 백발백중 일기가 진다. 잠이 이긴다. 숙제도 다 하고, 텔레비전도 다 보고, 이제 따뜻한 이불 밑에서 달고 단 잠을 자면 되는데, 졸음을 이겨가면서 그 놈의 일기를 써야 한다. 선생님이 아니라 교장 선생님까지 나서서 검사를 한다고 해도 잠을 자고 싶을 것이다. 설령 쏟아지는 잠을 이기고 일기장을 펼치는 장한 아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일기는 정말이지 넌덜머리가 날 것이 아닌가. 이래서 아이들은 일기없는 세상에 살고 싶은 것이다. 일기 검사라는 무서운 채찍만 없으면 일기장을 당장 내버리고 마는 까닭이 여기에 있다.
일기고, 독서고, 공부고 아이들이 재미있어 하도록 해야 한다. '어떻게 하면 싫증을 덜 내고 재미있게 하도록 할 수 있을까'하고 궁리를 해야 한다. 그게 교육방법이다. 그게 어른들이 할 일이다. 그런데 도리어 걸림돌만 만들어 놓고 닦달만 한대서야 되겠는가?
그렇다면 언제 일기를 쓰게 하는 것이 좋을까? 앞에서도 말했지만 어른들이 직접 일기를 써 보면 안다. 언제 쓰는 것이 가장 좋을지를.
일기를 쓸 일이 생긴 뒤 즉시 쓰는 게 가장 좋지만 이건 쉽지 않다. 일기장을 손수건처럼 늘 주머니에 넣고 다닐 수 없기 때문이다. 또 싸움을 했다거나, 꾸중을 들은 일이라면 그 감정이 채 가라앉기도 전에는 진득하게 글을 쓸 수가 없다.
아이들은 학교에 갔다 집에 오자마자 쓰도록 하는 게 가장 좋다. 학교에서 있었던 일이나, 집에 오면서 겪은 일을 찬찬히 떠올려서 집안 식구들에게 들려준다고 생각하고 쓰도록 하면 된다. 실제로 일기에 쓴 이야기를 그날 밤에 식구들에게 해주는 버릇을 들이면 더욱 좋다.
'잠과 일기를 싸움 시키지 않는다.' 이 걸림돌만 하나 치워줘도 일기 쓰기에서 큰 짐을 덜어 주는 좋은 부모님이 되는 것이다.
윤태규(대구 남동초교 교감)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