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뜰에서 내내 빈 손 들고 서 있던
살구나무 한 그루 간 곳이 없고, 홀연
꽃상여 한 채가 기다리고 있었다
환등을 켜놓은 듯 사방 온통 환해서
나비도 어릿어릿 앉다가 이내 뜬다
다시 보면 연분홍꽃 새 이불
알몸으로 푸욱 묻히고 싶은
꿈도 없이 한 시절쯤 잠들고 싶은
꽃구름 한 채 둥두렷이 떠 있다
간밤 꿈에 어머니가 뵈더니
살구꽃 가마 한 채 보내신걸까
'만행과 만덕을 닦아 덕과를 장엄하게 한다'는 불교 용어 화엄의 무늬와 색깔이 궁금하다면 이 시를 소리내어 읽어볼 일이다. 살구나무 꽃피는 순간에서 화엄 세상을 엿본다면 이 세상에서 시인의 쓰임새도 한 가지는 되겠다. 꽃핀 살구나무는 꽃상여의 은유를 얻었다. 만발한 살구꽃은 살구나무라는 제 본질을 넘어 버렸다. 그건 현실과 환상을 오가는 등불의 이미지이다. 어느새 그것들은 새 이불이다가, 상승하면서 꽃구름의 이미지 속에서 꽃가마까지 변신한다. 살구꽃의 눈부심만큼 변신은 천의무봉. 마치 수많은 만다라 그림과 조우하면서 만다라의 천가지 만가지 색들과 차례차례 겹쳐지는 순간을 형성하고 있다. 이 시 이후 오래 지나지 않아 시인은 자신의 부음을 득음처럼 남겼다.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