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득 전 국회부의장이 어제 "나는 약삭빠르게 정치를 하지 않았다"고 했다. 전날 박근혜 전 대표가 자신을 겨냥해 "우리 정치의 수치"라고 비판한 데 대한 반박이다. 박 전 대표는 경주 재선거에서 무소속 출마를 선언한 '친박' 성향의 정수성 씨가 "이 전 부의장이 이명규 의원을 통해 후보 사퇴를 종용했다"고 주장하자 그같이 언급했었다.
정 씨 주장이 사실이라면 이 전 부의장 측의 태도는 적절하지 못했다는 얘기를 들어도 할 말이 없을 것이다. 하지만 현재 명확한 사실관계는 정 씨가 먼저 이 전 부의장에게 만나자고 했었고, 이명규 의원은 정 씨의 출마가 박 전 대표에게 미칠 영향을 원론적으로 언급했다는 정도뿐이다. 논란의 핵심인 사퇴 관련 언급은 양측의 주장이 엇갈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박 전 대표가 "어떻게 이런 일이 있을 수 있느냐"고 공개적으로 비판한 것이다.
물론 이 의원이 말한 것을 놓고 정 씨 입장에서는 '압박'으로 느꼈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구체적 회유나 압박, 명시적인 사퇴 종용 언급이 드러나지 않은 당시 상황에서 그것은 어디까지나 주관적 느낌인 것이다. 본디 누구 말이 맞는지 모를 정도로 뒤엉키는 게 선거전이다. 섣불리 한쪽 편을 들기 어려운 게 선거판의 온갖 주장들인 것이다.
사려 깊지 못한 언행들이 비교적 조용하던 경주 재선거를 '친이' '친박' 싸움판으로 만들어가고 있다. 그것은 지난해 총선의 연장전으로 가는 모양새다. 한나라당이 낸 공식 후보가 있는 마당에서 패가 갈려 싸우는 것은 여러모로 바람직하지 않다. 이번 선거는 지난번 친박연대로 나온 사람이 돈을 뿌린 것 때문에 경주시민이 다시 지역을 대표할 인물을 뽑는 것이다. 그런 만큼 선거가 또 탈선하지 않도록 정치권도 도와야 한다.
한나라당이 계파 싸움으로 소란을 떠는 것은 그 자체도 우습지만 경주사회에도 불쾌감을 안겨주는 일이다. 지난번 투표를 돌아보며 차분하게 후보를 따져보고 싶을 경주시민들에게 막무가내로 어느 한쪽에 줄 설 것을 부추기는 거나 마찬가지이기 때문이다. 이번 재선거에 뛰고 있는 3~4명 다른 정당이나 무소속 후보에게도 선택을 호소할 기회를 짓밟는 횡포인 것이다. 한 지역의 재선거 하나에 목숨을 거는 듯한 과잉 개입은 어느 누구도 그 뒤는 좋지 않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