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환경노동위 '낙동강 정책 탐사 결과보고서' 발간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의원과 각계 전문가들이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낙동강 발원지에서부터 낙동강 하구둑 514㎞를 직접 둘러보는
▲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의원과 각계 전문가들이 지난달 27일부터 29일까지 낙동강 발원지에서부터 낙동강 하구둑 514㎞를 직접 둘러보는 '낙동강 정책탐사 투어'를 추진했다. 정부의 '4대 강 살리기' 사업 중 낙동강은 가장 큰 신성장 동력이며 핵심축이다. 서상현기자

"1천300리 영남의 젖줄 낙동강은 역사, 민족, 문화, 번영의 강이었고 신성장 동력의 바탕이 되는 우리의 미래를 여는 '미래의 강'임을 깨달았다."

'세계 물의 날'(3월 22일)을 맞아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 등 국회 환경노동위 소속 한나라당 의원과 관계 전문가들이 지난달 26일부터 29일까지 낙동강 발원지에서부터 하구언까지 514㎞를 탐사하면서 문화 특강과 사랑방 좌담회 및 정책 토론회 등을 벌인 탐사결과보고서가 21일 발간됐다.

매일신문과 대구MBC가 후원하고 환경부와 한국수자원공사가 주관한 이번 정책 탐사를 통해 의원들은 "낙동강의 본류 살리기와 지류 살리기가 따로따로가 아니다"며 "낙동강 살리기 사업은 단순 토목공사 위주로 진행돼서는 안 되며 수량 확보와 수질 개선은 물론이고 역사와 문화, 사람과 이야기를 하나로 모으고 되살려 새로운 물길로 만들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조 의원은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사람들이 같은 물을 먹고사는 사람임을 확인했다"며 "물이 같으면 성질이 같다는 신수불이(身水不二)의 정신에 입각, 영남인 모두가 공감할 수 있는 방향으로 낙동강 살리기 사업이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성천 의원(비례대표)은 "식수 전용 저수지에 대한 봉화군 재산면과 영주시 평은면 주민들의 간절한 염원을 외면할 수 없었다"고 말했다. 박대해 의원(부산 연제)은 "이제 강에 대한 생각의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 취수원 확보가 아니라 지역 발전과 국가 경제의 핵심 자원으로 강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준선 의원(경기도 용인 기흥)은 "낙동강 살리기는 대구경북과 부산경남 지역의 물 부족 사태를 극복하기 위한 최선의 방안"이라고 지적했다. 이두아 의원(비례대표)은 "이번 현장시찰은 생태하천 조성과 수질개선의 시급성을 피부로 느낄 수 있는 기회였다"고 밝혔다.

정책 탐사에 참여한 낙동강 유역 지자체들도 정책탐사단에 다양한 정책 및 예산 지원을 제안해 낙동강 살리기 사업으로 추진할 것을 요청했다.

강원도 태백시는 지구온난화에 대비한 취수원 추가 확보가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봉화군은 ▷봉화 석포 소재 사업장 폐기물 매립시설 설치 사업비 국비 지원 ▷식수 전용 저수지 3개소(월로방, 개단, 천애수) 설치 사업비 국비 지원 등을 건의했다. 안동시는 녹색성장 선도 도시이자 낙동강 살리기 시범 지역인 안동에 관련 예산을 집중 지원해줄 것을 요청했다. 영주시는 ▷송리원댐 하류를 국가하천으로 지정하고 ▷2012년까지 송리원댐 건설이 마무리될 수 있도록 예산 지원을 건의했다. 이에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이 4월 국회 대정부질문 답변을 통해 국가하천 지정 여부에 대해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답변한 바 있다.

예천군은 내성천 리버도로 사업(강수욕장·강변예술촌·수변생태관광지 등) 시행을 건의했다. 상주시는 ▷청리 산업단지 수도 시설 설치 사업비 지원 ▷낙동강 살리기 경관 활용 사업을 위한 경천대 상수원 보호 구역 해제를 요청했다. 구미시는 ▷생활 폐기물 소각장 설치 사업 국비 75억원 지원 ▷하수 처리장 악취 저감 시설 설치 사업비 40억원 지원을 건의했다. 대구시는 취수원을 안동댐이나 낙동강 상류로 이전해줄 것을 요청했고, 달성군은 낙동강 살리기와 연계한 산업단지 개발 의견을 냈다.

이번 정책탐사를 주관한 조 의원은 "5월까지 낙동강 살리기 세미나와 공청회를 열고 각 지자체와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해 낙동강 살리기 마스터플랜을 만들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협찬 한국수자원공사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