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물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는 방안인 '댐 네트워크'(본지 2월 26일자 4면 보도) 건설이 구체화된다. 또 물 분쟁 등 수자원 문제를 다룰 '물 관리 추진협의체' 구성이 추진된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27일 청와대에서 열리는 '4대 강 살리기 정부 합동보고 대회' 때 낙동강 물 부족 문제와 지자체 간에 불거지고 있는 물 분쟁을 해결하기 위해 이들 방안을 추진할 것을 정부에 건의한다.
낙동강과 남한강 수계를 도수로로 연결하는 '댐 네트워크'(충주~안동~임하~영천댐)는 10여년 전부터 수자원공사와 농어촌공사·학계 등에서 제기한 문제로 최근 국토해양부에서 구체적인 연구 검토에 들어갔다.
정부는 현재 댐 네트워크의 첫 단계로 안동댐과 임하댐을 연결하는 방안을 구체화하고 있다. 경북도는 충주~안동댐(80㎞), 안동~임하댐(5㎞)을 연결하는 도수로 건설에는 1조2천억원의 사업비가 들고, 올해 사업을 추진하면 2014년 완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김 도지사는 물 분쟁 등 수자원 문제를 다룰 정부 부처와 지자체가 참여하는 '물 관리 추진협의체' 구성도 제안한다. 김 도지사는 23일 매일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나라도 '워터 디바이드'(Water Divide) 시대를 맞고 있다"면서 "수자원 관련 정부 정책의 혼선을 방지하고, 지자체 간의 다툼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를 조정하는 협의체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김 도지사는 국토부가 용역 중인 낙동강 살리기 사업에서 안동~예천 구간(안동시내에서 도청이전 예정지 사이 67㎞)의 하상 준설을 선도사업으로 추진해 줄 것을 요청할 계획이다. 경북도는 이 구간의 퇴적토를 걷어내고 보와 갑문을 만들면 소수력발전시설을 설치할 수 있고 옛 뱃길도 복원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한편 '4대 강 살리기 합동보고 대회'에는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 장·차관 및 국책연구원장 등 정부 위원 23명, 균형위·녹색위·건축위 등 민간 위원 59명, 4대 강 주변 자치단체장 5명(경북·경남·전남도지사·충주시장·부여군수) 등 200여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김교성기자 kgs@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