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경상북도 교육감 보궐 선거는 '투표율이 낮으면 조직력이 탄탄한 보수 성향 후보가 이긴다'는 기존 '선거공식'을 다시 한번 확인시켜줬다. 이번 선거는 역대 직선 교육감 사상 최대의 투표율(24.4%)을 기록했지만 40~50%에 달하는 국회의원 선거 등 일반 선거에 비해서는 매우 낮은 투표율을 보였다.
특히 이영우 후보를 지지하는 교육 관계자들이 막판 대거 투표에 참여, 승리를 확정지었다는 분석이다. 이 후보 측도 선거당일 "투표율이 높아지면 조직력이 떨어지는 후보가 유리하다고 할 수 있지만 30~40% 이상 돼야 바람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더구나 후보 간 표가 분산될 가능성까지 감안하면 단순 수치로서 투표율에 따른 유불리를 단정하기 힘들다"고 승리를 예측했다. 이에 따라 교육계의 탄탄한 지지와 조직력을 자랑해 온 '이영우 후보의 당선은 예상된 결과였다'는 것이 지역교육계의 분석이다.
◆따 놓은 '당선'=이번 도교육감 보궐선거 전체 유권자는 210만6천162명, 이번 투표에 참가한 인원은 51만2천209명이다. 경북도 내 유치원·초·중등교원수는 2만5천860여명. 여기다 도교육청과 시·군교육청, 산하기관 등에 근무하는 교직원이 4천260여명으로 전체 교원과 교직원 수는 3만여명에 이른다. 여기에 이들이 투표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가족과 학교운영위원 가운데 학부모 위원 4천여명, 지역위원 1천500여명이 더 있어 단순한 산술적 계산으로도 '교육 가족'이 최소 4만5천명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투표율이 30%를 넘지 못할 경우 이들의 표심이 당락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예상돼왔다. 자신들의 인사권을 쥐고 있는 교육감을 뽑는 선거여서 교직원들이 그 누구보다 투표에 적극 참여할 것으로 봤기 때문이다. 따라서 35년 동안 23개 시·군 13곳에서 교사로 근무한 이 후보의 경력이 절대적 힘을 발휘할 수 있었던 대목이다.
◆상대 '오판'도 한몫=그러나 이 후보의 승리 뒤에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다. 특히 한나라당과 같은 기호로 선거에 나섰던 김철 후보의 '오판'도 이 당선자를 돕는 결과가 됐다.
김 후보는 선거기간 동안 한나라당 후보와 같은 '파란색' 선거운동 옷을 입고 반사이익을 노렸지만 오히려 역효과를 가져왔다. 실제 전략지역으로 선택한 경주에서 이 후보(45.10%)에 비해 낮은 득표(32.02%)에 그쳤다. 반면 상주, 고령, 성주, 군위, 청송, 영양 지역에서는 압도적인 승리를 거뒀다. 결과적으로 이번 선거에서 다시 한번 확인된 '박풍의 위력'이 도교육감 선거에도 영향을 끼친 셈이다.
선거 막판 불었던 부정선거 논란도 이 후보를 도왔다. 인지도에서 앞서왔던 것으로 평가됐던 유진선 후보가 '재산신고 누락'과 '허위경력 기재'라는 암초에 발목이 잡히는 동안 지지세를 확산시킬 수 있었다는 분석이다. 이에 대해 당선이 확정된 29일 밤 이 후보 측은 "교육계, 학부모, 학원 관계자 등 적극 투표층 20%에 대해 집중 공략한 것이 주효한 것 같다"면서도 "학력신장과 명품교육이라는 공약이 유권자들에게 먹혀들었고 이에 못지않게 현장교육을 해본 사람이 교육감이 돼야 한다는 교육계의 절대적 지지가 당선으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최창희기자 cchee@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