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워하는 데도 한 번 만나고 못 만나게 되기도 하고, 일생을 못 잊으면서도 아니 만나고 살기도 한다. 아사코와 나는 세 번 만났다. 세 번째는 아니 만났어야 좋았을 것이다'(수필 '인연' 중에서)
'수필은 청자(靑瓷) 연적이다. 수필은 난이요, 학이요, 청초하고 몸맵시 날렵한 여인이다'(수필론 '수필' 중에서)
거문고를 타고 노는, 때 묻지 않은 아이의 마음을 닮았다는 금아(琴兒). 피천득은 서정적이고 간결한 시와 수필을 노래했다.
1910년 오늘 서울에서 태어난 금아는 10세에 어머니를 여읜 뒤 삼촌 집에서 자랐다. 주요한의 주선으로 일제 강점기 때 중국 상하이 후장대 영문학과를 졸업했다. 해방 이듬해 경성대(현 서울대) 예과 교수를 거쳐 1974년까지 서울대 영문과 교수로 재직했다. 1930년 '신동아'에 시 '서정소곡(抒情小曲)'으로 등단한 뒤 잡지 '동광'에 시 '소곡'(1932), 수필 '눈보라 치는 밤의 추억'(1933) 등을 발표했다. 2007년 5월 숨진 금아의 애틋하고 섬세한 아름다운 필체가 아련하다. 김병구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