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꽉 막힌 '대구 군 공항 이전' 해법 찾기…최다선 주호영이 뛴다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주 부의장 "군 공항 이전 국가가 나서야…수원·광주 똑같아"
오는 18일 '대구 도심전투비행단 이전사업 정책세미나' 개최 예정

주호영 국회부의장(대구 수성구갑)이 15일 대구 군 공항 이전사업 정책세미나를 앞두고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박성현 기자
주호영 국회부의장(대구 수성구갑)이 15일 대구 군 공항 이전사업 정책세미나를 앞두고 기자간담회를 진행하고 있다. 박성현 기자

국회 최다선 의원인 주호영 국회부의장(대구 수성구갑)이 교착 상태에 빠진 대구경북(TK)신공항 구원투수로 나섰다. 주 부의장은 "군 공항 이전 문제를 외면하는 것은 국가의 갑질"이라며 "정부가 직접 나서서 이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 부의장은 오는 18일 열리는 '대구 도심전투비행단 이전사업 정책세미나'를 앞두고 15일 연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주 부의장은 이날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이 국가 사무임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대구 군 공항으로 시민들이 불편이 한두 가지가 아니다. 소음은 물론 대구 시내에 있으면 비행기 추락 시 인명 피해도 클 것으로 예상한다"며 "사업명도 본질에 맞게 '대구도심 전투비행단 이전 건설사업'으로 바뀌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현재 'TK신공항 특별법'에 명시돼 있는 '기부대양여' 방식에 대해서도 한계가 명확하다고 지적했다. 구조적으로 사업성 산정이 어려워 재원조달이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다. 그는 "현재 군 공항이 낙후된 상황에서 이를 최신 시설로 바꾸고 면적도 키워 옮기는 것을 왜 대구시가 해야하냐"며 "대구시가 지금껏 지자체로서 최선을 다했으나 이제는 정부가 나설 차례"라고 했다.

그러면서 주 부의장은 타 국가 사례도 언급했다. 일본의 경우 자국 방위성과 미 국방부가 나서서 후텐마 군 공항을 이전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싱가포르도 국방부가 나서서 공항을 이전했다는 것이다. 한국의 경우에는 아직 군 공항을 이전한 전례가 없는 상황이다.

주 부의장은 "정부가 나서지 않으면 대구뿐 아니라 수원, 광주 군 공항도 이전하지 못하고 그 자리에 영원히 있을 수밖에 없다"며 "지금껏 안보 때문에 희생한 지역에게 국가가 화답할 차례"라고 덧붙였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