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지방자치단체 통폐합을 추진해 온 일본 정부가 지방공무원 감축에 본격 착수했다.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 신문은 총무성이 내년에 지방자치법을 개정해 여러 지자체가 통합하지 않고서도 공동기관을 설치하는 것을 허용키로 했다고 10일 보도했다. 회계 등 업무 내용이 비슷한 사무 부문을 통합해 지방공무원 수를 본격적으로 줄이겠다는 것이다. 여기에는 농업'관광'특산물 등 산업 진흥 분야도 포함된다. 이웃하는 지자체끼리 비슷한 관광'특산품 등 관련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해 중복 투자와 인력 낭비를 막겠다는 계획이다.
일본 정부가 이 같은 계획을 세운 것은 10년간의 통합 작업으로 1999년 3천232개였던 지자체 수가 내년까지 1천760개로 절반 정도 줄어들지만 지방공무원 감소 폭은 10%라는 실망스런 수준에 그칠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대폭적인 통합에도 공무원 수가 기대만큼 줄어들지 않으니 지자체별로 비슷한 업무를 통합해서라도 공무원을 감축하고야 말겠다는 의지가 읽힌다.
일본 정부의 이 같은 의지를 우리 정부도 배울 필요가 있다. 지방자치제가 시행된 이후 지방행정 조직은 엄청나게 비대해졌다는 것이 국민의 판단이다. 인구 2만이 안 되는 지자체도 대도시와 같은 조직을 유지하고 있다. 인구가 적으면 행정 수요도 그만큼 적어진다. 이에 맞춰 행정 조직이 슬림화되어야 하지만 그 반대로 가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방행정 조직과 적정 인력 규모에 대한 전면적인 실사를 통해 낭비 요소를 과감히 도려내야 한다. 지자체 가운데는 자체 수입으로 인건비도 못 주는 곳이 즐비하다. 민간에서 이런 조직은 상상도 할 수 없다. 물론 공공행정은 대국민 서비스라는 점에서 민간의 비즈니스와 동일선상에서 비교할 수는 없다. 하지만 이를 이유로 공공조직의 비효율을 두고 볼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이 같은 측면에서 전국 9개 지역을 대상으로 내년 지방선거 이전에 시'군 통합을 자율적으로 추진하겠다는 이달곤 행정자치부장관의 발언은 매우 관심을 끈다. 이 계획이 성사되면 '총론 찬성, 각론 반대'에 부딪혀 지지부진한 행정구역 개편 논의도 탄력을 받을 것이다. 아울러 현재 지방공무원 수가 적정한지 여부와 통합을 통해 조직과 인력을 얼마나 줄여야 하는지도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공공 부문의 경쟁력 향상 없이는 국가 전체의 경쟁력 제고는 기대할 수 없다. 그 첫걸음은 작고 효율적인 조직으로 공공 부문을 탈바꿈시키는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