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직 대통령 생가 상당수는 방화 등으로 수난을 겪었다. 박정희·전두환·김대중 전 대통령 생가는 모두 한 번씩 불탔거나 방화시도가 있었다. 대통령 생가란 상징성 때문에 테러의 표적이 되기도 했다.
박정희 전 대통령 생가는 한 때 불 탈 뻔 했다. 1980년대 말 정신병력이 있는 한 사람이 생가에 방화를 시도하다 인근 주민에게 발각된 것. 이 사건 뒤 구미경찰서는 경찰 1명을 생가에 파견해 4~5년간 관리해오다 이후 '박정희대통령생가보존회'로 생가 관리를 넘겼다. 생가보존회를 이끈 김재학 보존회장이 지난해 4월 역시 정신병력이 있는 이로부터 피살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도 발생했다.
전두환 전 대통령의 생가는 퇴임 뒤인 1988년 11월 대구지역 대학생 6명이 전투경찰을 밀어내고 화염병을 던진 바람에 본채가 모두 불탔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생가도 2002년 12월 13일 새벽 불길에 휩싸였으나 다행히 흙으로 지은 집이라 큰 불로 번지진 않았다. 불을 지른 이는 서모(55·당시 대전 유성구 구암동 거주)씨. 전북 남원 출생으로 경남 하동 '청학동'에 들어가 장년이 될 때까지 한학을 배웠던 것. 서씨는 불을 지른 뒤에도 도망가지 않고 상투를 풀어헤친 채 정좌하고 있었다. 그는 경찰에서 "남북통일 방안에 대해 대통령 면담을 3차례나 요청했지만 반응이 없어 이 같은 뜻을 널리 알리기 위해 대통령 생가에 불을 질렀다"고 말했다. 하필이면 대선을 얼마 남겨놓지 않은 때였다. 김태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