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다시 방학이 시작되었다. 아이가 학교에 들어가고 세 번째 방학이다. 아이의 첫 방학에는 '처음 방학을 어떻게 보내야 할까?' '방학 동안 무엇을 하는 것이 좋을까?' '학기 중에 할 수 없었던 다른 것들을 해야 하지 않을까?' 등등 이런저런 생각이 많았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생각만 많았던 것 같고 늘 다니던 학원을 가고 늘 하던 학습지를 한 것 말고는 별 다르게 한 일은 없었던 것 같다. 그렇지만 방학이 되니 또다시 이런저런 생각에 빠져 본다.
이번 방학은 어떻게 보낼까? 우선 아이는 8월에 있을 '태권도 승품(단)심사 대회'를 위해 방학을 맞아 더욱 더 열심히 연습을 하고 있다. 심사가 더욱 강화되었다고 하니 노력한 만큼 아이에게 좋은 결과가 있기를 바란다.
다음으로 방학 때가 아니라도 할 수 있는 일이기는 하지만 이번 여름방학을 계기로 아이가 좋은 습관 한 가지를 만들었으면 한다.
습관이라 함은 '여러 번 되풀이함으로써 저절로 익고 굳어진 행동'으로 자신도 모르게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사람이라면 누구에게나 그것이 좋은 것이든 나쁜 것이든 간에 습관을 한 가지씩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아이에게 나쁜 습관이 있더라도 그것에 더 신경을 쓰고 억지로 고치려고 하기보다는 달리 아이가 좋은 습관을 한 가지씩 늘려가도록 해봄은 어떨까?
가령 '기본적인 예의 습관화하기'는 어떨까? 예의는 타고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여러 사람들과 어울려 살면서 익히는 것이므로 '좋은 습관화하기'에 참 좋은 것 같다.
특히나 요즘은 이 기본적인 예의가 없는 아이들이 많으니 더욱 더 그러하다. 요즘 아이들은 고마울 때 '고맙다'고 말할 줄 모르고 미안할 때 '미안하다'고 말할 줄 모른다. 유난히 '미안하다'는 말을 하기 싫어하는 아이들도 많다.
"어머니, 밥 잘 먹겠습니다" "학교에 다녀오겠습니다" "어머니, 아버지 안녕히 주무세요" 등등 이러한 간단한 인사를 잘하는 아이들도 많지 않다.
이러한 말들은 참 간단하고 쉬운 듯하지만 좀처럼 쉽게 잘 되지 않는 말들이다.
필자 또한 이러한 말들을 쉽게 하지 못하며, 왠지 나이가 들면서 더 안 하게 되는 말들이기도 하다. 또 엘리베이터 안에서 정말 아는 사람이 아닌 그냥 이웃을 만났을 때 '먼저 인사하기'를 못해 서로 멋쩍어했던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일은 나중에 저절로 되는 것이 아니라 어릴 때부터 몸에 익혀야 어른이 되어서도 습관이 되어 자연스럽게 할 수 있는 것이다. 나쁜 습관은 나도 모르게 저절로 되는 경우가 많지만 좋은 습관은 몸에 배도록 노력해야 하지 않을까? 이번 방학에는 아이의 방학 과제물에 '좋은 습관 한 가지 만들기'를 덧붙여 보자.
좋은 습관은 그 사람을 돋보이게 하므로….
천연정(동변초교 2년 정민재 어머니)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차문 닫다 운전석 총기 격발 정황"... 해병대 사망 사고 원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