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들 맛있다고 해서 참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맛없다고 해봐요. 얼마나 낭패겠어요."
대명수산식당 방연옥(55)씨. 손맛도 손맛이지만 항상 싱싱한 곰치를 재료로 하기에 미식가들의 발길이 끊이질 않는다. 식당 앞 곰치 수족관은 장관이다. 지나가는 길손들도 들여다보고 연방 '무슨 고기냐'고 묻는다. 같은 물음이 온종일 계속되면 귀찮기도 하겠지만, 방씨의 대답소리는 항상 밝다. "곰치요 곰치. 물곰"이라고 가르쳐 주곤 웃는다.
40년 전 친정 할머니와 어머니가 물곰탕을 끓이는 것을 봐 뒀다가 10여년 전부터 집에서 손님을 칠 때 조금씩 끓여보게 됐다는 방씨는 본격적으로 물곰탕 전문식당을 낸 것은 3년 전부터라고 했다. 처음 물곰탕 한가지로만 식당이 되겠느냐는 생각에 대게탕과 대구탕, 아구탕을 함께 하고 있는데, 식당을 찾는 손님 대다수는 물곰탕을 찾는단다.
"대구탕과 아구탕은 대도시에서도 하는 집이 많잖아요. 대게탕도 집에서 쉽게 해먹을 수 있으니. 아마 그래서 물곰탕을 많이 찾는 것 같아요."
다른 집과 달리 싱싱한 곰치를 재료로 써서 만든다는 말은 아낀다. 말 않아도 맛 차이로 다들 알기 때문이란다.
"맛 내는 기술이 뭐 어디 있나요. 저기, 저 푸르고 싱싱한 동해바다가 맛을 다 내고 있는데요."
시원하게 끓인 물곰탕과 함께 내는 반찬도 정갈하다. 가자미밥 식해에다 쇠미역 무침, 톳나물 등 철마다 색다른 바닷나물이 완전 '울진식'으로 올려져 그야말로 동해안 포구식당 특유의 풍미가 가득한 한상을 차려낸다. 방씨의 친절한 모습도, 소박하기만 한 식당 내부도 물곰탕을 더욱 시원하게 느끼도록 해주는 천연 조미료다.
권동순기자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