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 서거 사흘째를 맞은 20일 고인에 대한 애도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서울 연세대 세브란스병원에 마련한 김 전 대통령 빈소와 전국 분향소마다 정·재·관계 인사 및 시민 조문객이 몰려들고 있다. 19일에는 한승수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 이용훈 대법원장, 정정길 대통령실장이 빈소를 찾아 헌화했고 정진석 추기경, 지관 조계종 총무원장 등 종교계 발길도 잇따랐다.
○…19일 빈소에서는 김 전 대통령의 장남 홍일씨가 몰라보게 수척해진 얼굴로 조문객을 맞아 주변의 안타까움을 샀다. 군사 정권 시절 고문 후유증과 파킨슨병으로 거동이 불편한 김 전 의원은 이날 저녁 부친의 영정에 꽃을 바치려 했으나 몸을 제대로 가누지 못했다. 김 전 대통령 서거날 홍일씨는 거의 말을 하지 못하는 상태에서도 이날만은 힘주어 '아…버…지'를 외쳤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날 오전 10시쯤 전두환 전 대통령이 고인의 빈소를 찾았다. 입을 굳게 다문 채 영정 앞에 헌화와 분향을 마친 그는 상주인 차남 김홍업 전 의원에게 악수를 청하며 "사람 일이 다 그런 거 아니겠나"고 말했다. 사형 문턱까지 갔다 고인 재임 시절 사면복권됐던 전 전 대통령은 고인 서거 전 문병에서 "김 전 대통령 재임 시절 전직 대통령들이 제일 행복했던 때"라며 쾌유를 기원하기도 했다.
○…고인에 대한 조문에는 어제의 적과 동지가 따로 없었다. 상도동계 맏형 격인 최형우 전 의원이 빈소를 찾아 동교동계 '큰 형' 권노갑 전 의원과 반갑게 인사를 나눴다. 불편한 몸을 이끌고 조문을 마친 최 전 의원은 만감이 교차하는 표정으로 눈시울을 붉히기도 했다.
○…1989년 6월 전국대학생협의회 대표로 방북했던 임수경씨도 부모와 함께 빈소를 찾아 고인의 영정 앞에서 오열했다.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구속됐던 임씨는 김영삼 전 대통령 시절 가석방된 뒤 고인 재임 때(1999년) 사면복권된 바 있다.
○…투병 중인 김종필 전 자유민주연합 총재는 빈소를 찾지 못했다. 지난해 말 초기 뇌졸중 증세로 신체 우측이 마비된 김 전 총재는 병원과 자택에서 재활 치료를 받고 있다. 김 전 총재와 김 전 대통령은 1997년 'DJP 연합'으로 정권 교체를 이뤄냈지만 내각제 개헌에 대한 의견 차로 2001년 결별했다. 김 전 총재는 김상윤 특별보좌역을 통해 "세월을 이기지 못하는 것은 그분이나 나나 똑같다. 조용히 명복을 빌겠다"고 전했다.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는 19일 자신의 싸이월드 미니홈피와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김 전 대통령의 서거를 애도했다. 박 전 대표는 "삼가 고 김대중 전 대통령의 명복을 빕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손을 흔들며 웃고 있는 모습의 김 전 대통령 사진을 팝업창으로 게재했다.
○…조문 발길은 김 전 대통령의 입관식이 거행된 20일 정오까지 줄기차게 이어졌다. 전날 밤부터 이날 오전까지 박원순 희망제작소 상임이사, 최열 환경재단 상임대표, 이태식 전 주미대사 등과 시민 애도가 계속돼 전체 조문객 수가 1만명을 훌쩍 넘어섰다. 입관식은 언론에 공개되지 않고 유족만 참석한 채 거행될 예정이며 이후 고인의 시신이 안치된 관은 국회 광장에 마련된 공식 빈소로 옮겨진다.
정치부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
교착 빠진 한미 관세 협상…도요타보다 비싸지는 현대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