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대구지하철참사때 이런 로봇 있었더라면…

화재현장 영상·음향·온도 생생히 전달 로봇 개발

최근 국내에서 열린 로봇전시회에서 호야로봇이 개발한 소방관 보조로봇이 큰 주목을 받았다.
최근 국내에서 열린 로봇전시회에서 호야로봇이 개발한 소방관 보조로봇이 큰 주목을 받았다.
소방관 보조로봇의 모습.
소방관 보조로봇의 모습.

2003년 100여명의 목숨을 앗아간 대구지하철 방화참사 때 소방관들을 가장 힘들게 했던 주범은 연기와 유독가스였다. 한 치 앞을 볼 수 없게 만든 연기와 가스 때문에 소방관들은 지하철 역사 내부 진입이 힘들었고, 그만큼 인명피해를 키웠다. 화재현장의 상황을 얼마나 정확하게 아느냐가 피해를 키우느냐, 줄이느냐로 직결된다.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소방로봇 개발에 나선 가운데 최근 지역의 한 벤처업체가 소방관 보조로봇을 자체 개발해 관심을 끌고 있다.

◆소방관 보조로봇을 아시나요?

소방관 보조로봇은 무게가 1.4㎏에 길이 164㎜·높이 125㎜의 '꼬마로봇'이다. 크기는 작지만 화재 및 재난현장에서는 대활약을 할 것이라는 기대를 한몸에 받고 있다.

몸체가 가벼워 소방관이 휴대하기 편하다는 점이 가장 큰 장점이다. 일본 등 지금까지 전세계에서 개발된 소방로봇은 모두 대형이다. 현장에서 다친 사람을 실어나르는 로봇, 불을 진압하는 로봇 등 대형 소방로봇이 많지만 시급한 화재현장에서 활약은 미미했었다. 게다가 실제 불이 붙은 발화지점에 투입할 수 있는 로봇은 최초다.

화면전송이 가능한 실내거리가 50m에 이르고, 130~160℃의 고온과 2m 높이에서 떨어져도 작동될 정도로 내구성이 뛰어난 점 등 로봇의 성능도 우수하다. 때문에 소방관이 화재현장까지 최대한 접근한 뒤 로봇을 현장에 투척해 리모컨으로 로봇을 컨트롤하면 현장의 생생한 정보를 안전하게 얻을 수 있다.

◆지역 벤처기업의 쾌거

성서 대구TP 벤처공장 2호관에 입주해 있는 호야로봇(주)은 국내 최초로 자체 설계에서부터 제조까지 가능한 소방관 보조로봇을 생산하는 벤처기업이다. 2006년 설립됐으니 3년도 채 안돼 소방로봇산업의 메카인 일본에서조차 주목할 정도의 큰 성과를 냈다. 이 업체가 최근 개발한 소방관 보조로봇(HRS-V 001)처럼 휴대 가능한 미니 소방로봇은 일본에서도 없기 때문이다.

호야로봇 강정호 이사는 "이 로봇은 화재 및 재난현장에서 구조가 필요한 인명의 탐색, 안전 유무 확인, 구조의 요구 유무 및 현장 환경정보 등을 알려 소방관의 투입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중요한 기능을 갖추고 있다"며 "또 현장 영상 및 음성, 온도 및 짙은 연기, 유해가스, 폭발성 가스 등의 정보를 신속하게 알려 소방관이 들어갈 수 없는 현장에서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세계가 주목하는 '꼬마로봇'

호야로봇이 개발한 꼬마로봇은 소방관을 위한 로봇이다. 화재현장 대부분은 목숨을 담보로 한 험한 상황과 열악한 장비로 인해 소방관 자신의 안전조차 확보돼 있지 않다. 때문에 현장의 영상과 소리, 각종 환경정보를 실시간으로 전해주는 기동성 있는 휴대용 미니로봇의 등장은 소방관의 생명을 지켜주는 구세주의 탄생을 의미한다.

지난 전시회 때는 꼬마로봇이 일본에 소개되면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폭발적인 호응의 여파로 호야로봇은 일본 소방방재청에 로봇 시연을 위한 제안서를 제출했으며, 올 11월 도쿄에서 열리는 세계로봇전시회에 초대받는 성과를 이뤘다.

강 이사는 "이 외에도 중국,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미국, 홍콩, 독일 등에서도 꼬마로봇에 대한 관심을 가지면서 견본을 요청하는 등 현재 해외 수출을 위해 전문기업에 위탁한 상태"라고 말했다.

◆국제행사에서 활동

꼬마로봇은 다음달부터 대구지역 48곳의 119 소방안전센터에 시범적으로 배치돼 첫 활동을 한다. 또 2010년 상하이 엑스포와 대구에서 열리는 2010년 세계소방관대회와 2011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통해 전세계를 무대로 활동범위를 넓힐 예정이다.

호야로봇 관계자는 "방재사업 중 통합 안전네트워크 분야의 경우 2010년엔 약 1천500억원의 국내시장과 2조7천억원의 세계시장이 형성되는 것으로 전망하는 등 어마어마한 규모"라며 "국내외 시장을 대상으로 올해부터 2011년까지 60억원 가량의 판매 실적을 목표로 국내 10위권 안에 드는 로봇전문기업으로 발돋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