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주재로 청와대에서 열린 제2차 지역발전위원회에서 지식경제부가 지역 발전 5개년 계획을 보고했다. 대경권을 비롯한 5개 광역권과 강원'제주 2개 특별경제권 발전을 위해 2013년까지 126조4천억 원을 투입한다는 게 골자다.
중복 투자, 재원 부족 우려도 있지만 지역 발전을 견인한다는 측면에서 이 계획에 대한 기대가 크다. 다만 걱정스러운 점은 경제권별 선도산업 선정 결과 대구경북이 의료산업에서 제외됐다는 사실이다.
경제권별 선도산업에서 충청권은 뉴IT와 의약바이오, 강원권은 의료융합과 의료관광으로 각각 결정됐다. 계획대로 사업이 추진된다면 충청권은 오송~대전~세종시를 잇는 의약바이오 벨트가 형성되고, 강원권은 원주'춘천에다 경기 남부를 연결하는 의료산업축을 갖게 된다. 국내 제약산업의 65%, 의료기기산업의 43%를 차지하는 경기도가 강원권과 연계하면 강원-경기 의료산업축은 대단히 위력적일 것임은 틀림없다. 서울에 인접한 지리적 이점에다 인천공항이란 인프라를 활용한다면 의료산업 육성은 물론 외국 의료 관광객마저 휩쓸 공산이 큰 것이다.
이와 달리 대구경북은 그린에너지, IT융복합이 선도산업으로 결정됐을 뿐 의료산업은 언급조차 없다. 의료단지 유치 후 대구시와 경북도가 의료산업을 선도산업에 포함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기에 이런 결과가 나왔는지 의문스럽다. 시'도가 제출한 자료를 모아 5개년 계획이 짜진 터여서 더 이해가 가지 않는다. 오송과 경쟁해야 하는 처지에서 경기'강원'충청이 중앙정부 지원을 등에 업고 의료산업 육성에 뛰어든다면 우리 지역으로서는 의료산업에서 경쟁력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의료단지는 죽기살기로 발버둥쳐야 성공할 수 있는 지자체 간 생존 게임 양상으로 치닫고 있다. 더욱 힘겨워진 환경에서 첨단의료복합단지의 성공을 어떻게 담보할 것인지 대구시를 지켜본다.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