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에서 생산된 친환경농산물을 소비하는'로컬 푸드(Local Food)'사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오는 11월부터 식생활교육지원법이 발효되면서 로컬푸드 사업 추진체 구성과 교육강화, 사회적기업 육성이 시급하다.
28일 대구파이낸스센터 리더스클럽에서 대구경북연구원과, 경북세계농업포럼이 주최하고 대구경북로컬푸드연구회가 주관한 '로컬푸드 활성화를 위한 정책방안'포럼에서 경북대 김규원 교수는"로컬푸드를 조기에 확산·정착시키기 위해선 대구경북을 아우르는 광역경제권 단위에서 민·관·산·학·연이 참여하는 추진체로 대구경북 로컬푸드지원센터를 만들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뿐만 아니라 "센터를 보완하기 위해 가칭 대구경북로컬푸드정책협의회를 두며 학교급식과 식생활교육을 담당하는 위원회를 둬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석태문 대구경북연구원 연구위원은 '식생활교육지원법의 지역 적용방안'주제발표에서 "시·군·구 단위에서 식생활교육에 관한 지원조례로 제도적인 뒷받침을 하고 패스트푸드를 대신할 수 있는 강력한 슬로푸드 운동 전개, 식생활 교육기관 선정과 교육프로그램 개발, 이를 위해 관계 전문가들로 식생활교육위원회를 구성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계명대 김영철 교수는 "다양한 로컬푸드 사업을 통한 지역발전을 위해서는 사회적 기업과 일자리창출을 강화하고 장기적으로는 주식회사 형태의 사회적 기업 육성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벌어진 토론회에서 김상훈 대구시 경제통상국장, 이태암 경북도 농수산국장, 김영만 경북도의회 농수산위원장 등은"대구경북엔 530만명의 소비자가 있는 만큼 시도가 힘을 모아 우선 학교급식에 로컬푸드를 확대하고 지원센터 구축을 통해 새로운 유통체계 구축도 시도해 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로컬 푸드(Local Food) 운동'
지역에서 생산되는 친환경농산물을 지역에서 소비하자는 운동으로 로컬푸드를 장려하면 지역 농민들을 살릴 수 있고 지역 경제도 살아나게 된다. 로컬푸드는 생산자와 소비자간 중간상이 필요 없기 때문에 생산자에 대한 소비자의 신뢰도는 높아지고, 생산자는 더 안전하고 좋은 먹을거리 재배를 위해 힘쓰게 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