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낙동강에 때아닌 '흙 싸움'

물량 예측 잘못해 생긴 흙 놓고 주민·지자체간 갈등

상주시 낙동면 주민들이 낙동강 제방에서 낙동강살리기 사업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상주시 낙동면 주민들이 낙동강 제방에서 낙동강살리기 사업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우리 동네에서 실시하는 낙동강살리기 사업의 준설토를 제발 인근 상습침수지역에 공급해주세요."

낙동강사업을 추진하면서 발생하는 준설토 처리문제를 두고 사업추진 부처와 시공사, 지방자치단체 등이 물량 예측을 잘못하거나 사업규모를 조정한 바람에 때아닌 '흙 쟁탈전'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낙동강 주변 주민들은 낙동강 사업 추진과정에서 당국이 준설토의 상당부분인 모래를 골재로 판매하기 위해 의도적으로 농지 리모델링 사업규모를 축소한 것이라며 불만을 나타내고 있다.

상주시 낙동면 주민들은 "낙동면 주변 낙동강에서 출토되는 준설토는 당연히 인근의 상습침수피해 지역인 낙동들과 장곡들의 농지리모델링 사업에 사용해야 한다"고 강력하게 요청하고 있다.

상주 낙동면 일대 낙동강에는 현재 낙단보 건설을 위한 물막이공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주민 이재원(56·낙동면 낙동리)씨는"물막이 공사가 끝나면 곧바로 강 준설작업을 벌이는데 준설토 처리를 두고 당초계획과 다르게 추진되고 있다"며"흙돋우기가 가장 필요한 상습침수지역을 왜 농지리모델링 대상지역에서 제외시켰는지 모르겠다"며 불만을 터뜨렸다.

낙동들에서 특작농사를 짓고 있는 김동석(53·낙동면 낙동리)씨와 윤경호(51)씨 등은 "이곳은 60~70㎜의 비만 내려도 침수피해를 당해 농사를 망치는 곳"이라며 "당초 낙동강 사업으로 준설된 흙을 인근 들판에 농지리모델링 사업을 한다며 영농금지 주민동의서를 요구해놓고 이제와서 농지리모델링 사업지구에서 제외시키면 영원히 상습침수지역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항변했다.

이에 대해 상주시 재난안전관리과 김욱기 담당은 "부산국토관리청에서 당초 기본계획때는 준설토가 430만㎥정도 나올 것으로 예상해 흙처리를 위해 인근 주민들의 동의서를 받기도 했으나, 실시설계 결과 200만㎥ 정도로 준설토가 줄어 낙동지역이 농지리모델링 대상에서 제외된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주민들은 "부산국토관리청이 준설토의 상당부분인 모래를 골재로 판매하기 위해 인근 농지 리모델링사업을 축소한 것"이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한편 상주시의회 신병희 부의장은"낙동리 주민들을 위해 구미시 공사구간에서 출토되는 준설토를 상주로 이관해오는 것을 구미시와 상주시가 협의 중에 있다"고 밝혔다. 상주·이홍섭기자 hslee@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