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엽기적인 홍성군청 공무원 비리, 다른 지역엔 없나

공무원 비리(非理)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충남 홍성군청 공무원들의 비리는 아연실색할 정도다. 군수는 버스 공영터미널 이전과 관련해 업자로부터 5천만 원을 받은 혐의가 인정돼 대법원에서 징역 3년 6월을 선고받아 중도 하차했고 군청 공무원 108명은 예산 7억 원을 빼돌린 사실이 검찰에 적발됐다. 홍성군 전체 공무원 677명 중 16%나 되는 공무원들이 비리에 연루된 것이다.

홍성군청 공무원들 비리는 조직적으로 광범위하게 이뤄졌다는 점에서도 충격적이다. 최근 5년간 사무용품을 구입한 것처럼 허위로 서류를 꾸며 국민 세금으로 마련한 예산을 야금야금 빼돌렸다. 횡령한 돈 대부분은 유흥비로 쓰거나 호화 쇼핑을 하는 데 탕진할 정도로 공무원들은 도덕 불감증에 빠졌다. 예산 운용 실태를 감시할 감사과도 비리에 가담했고 21개 부서 중 70% 이상의 부서가 비리를 저질렀다. 이런 탓에 이명박 대통령이 생계형 범죄가 아니라며 홍성군청을 강하게 질타한 것이다.

국민 대다수는 홍성군청 공무원 비리를 보면서 우리 지역도 그렇지 않을까 하는 의심을 가질 수밖에 없다. 줄을 잇는 공무원들 비리에 이젠 허탈감을 넘어 공직자들에게 과연 윤리 의식이란 게 있는가라는 의문을 던지는 것이다.

도를 넘은 공직 비리를 뿌리 뽑으려면 지방자치단체의 감사 인프라를 확실하게 구축하는 게 급선무다. 감사의 전문성과 독립성을 확보해 동료나 선'후배들의 눈치를 보지 않고 감사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해야 하는 것이다. 공무원들에 대한 청렴도 평가제를 도입, 그 결과에 따라 인사와 예산에 불이익을 주는 방안도 필요하다. 이 같은 제도 도입과 함께 무엇보다 공무원 스스로 확고한 윤리 의식을 갖는 게 중요하다. 모든 공무원들이 국민의 세금으로 녹을 먹는 공복(公僕)으로서 도덕적 정신 무장을 해야만 만연한 공직 비리를 근절할 수 있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