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지역 기업인들의 심정은 처참하기 짝이 없다고 한다. 지역의 오랜 경기 부진에도 어떻게라도 버텨 보려고 노력해 왔는데 세종시 문제가 튀어나오면서 맥이 탁 풀리더라고 토로하는 기업인들이 적지 않다. 지방을 홀대하고 정치 논리로 재단하려는 정부의 처사를 지켜보면서 참으려도 더 이상 참기 어려울 정도라는 것이다. 정부가 수도권 중심주의의 논리를 완전히 폐기하지 않는 이상 지역 기업인들의 마음이 돌아설 수 없는 상황을 맞은 것이다.
28일 대구상공회의소에서 열린 '2010 지식경제부 주요 시책 대구경북권 설명회' 자리는 정부에 대한 성토장이 되다시피 했다고 한다. 지역 기업인들은 김영학 지경부 제2차관에게 많은 불만과 하소연을 쏟아냈다는 것이다. '세종시 분양가를 보고 억울하다는 생각밖에 없다' '세종시 수정안만 밀어붙일 게 아니라 지방에는 상응하는 대책을 세우고 있는지 궁금하다' '본사와 공장은 수도권에 있고, 지방에는 소비자만 있다' '지방엔 사람과 돈줄이 말라가고 있는데 대책이 없다' 등의 얘기가 나왔다. 웬만하면 관료에게는 덕담을 하는 것이 체질화된 기업인들이 이렇게까지 강하게 요구하는 것은 그만큼 지역 사정이 절박하다는 의미다.
지역 경제가 바닥을 헤맨 지 꽤 오래된 것 같다. IMF 이후 내내 부진하다 중간에 건설 경기가 반짝했던 것을 제외하면 예전보다 훨씬 더 못한 상황이 된 것이다. 돈도, 일자리도 없고 우수한 인력조차 찾기 어려운 곳이 되고 있다는 것이다. '지역 총생산(GDP) 전국 꼴찌' '청년 실업률 2년 연속 최고'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다시 들먹이는 것조차 지겨울 정도다.
한국처럼 국가의 개입이 빈번한 경제 체제에서는 지역 기업의 무기력함은 정부의 방관에서 기인한다. 정부가 혁신도시의 지방 이전을 주저하다 세종시 때문에 마지못해 추진하고 있는 일이라든지, 수도권 규제 완화를 끊임없이 시도하고 있는 것만 봐도 정부의 기조를 절로 알게 된다. 지방 기업을 살리지 않으면 지방이 없고, 정부의 존재 의미도 없다. 형식적인 지방 육성책보다는 지역 기업인을 위한 특단의 대책이 필요한 것이다. 정부는 지역 기업들이 돈과 일자리 창출을 할 수 있도록 최대한의 애정과 성의를 보여야 한다. 정부는 지역 기업인들의 하소연을 귓가로 흘려듣지 말고, 지원책을 조속히 내놓아야 할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