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궁금증을 풀어드립니다] 금의 순도 어떻게 계산하나

24K, 18K, 14K 등으로 표시…2007년부터 '돈'대신 g 사용

예로부터 부귀영화의 상징으로 여겨졌던 금. 금값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새삼 세인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금은 흔히 24K, 18K, 14K 등으로 표시된다. 무슨 의미일까.

금의 순도를 나타내는 단위는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많이 사용되는 것이 바로 '캐럿'(karat)이다. K는 캐럿의 약자. 캐럿을 사용해서 금의 순도를 나타낼 때는 24를 100으로 기준해서 계산한다. 1K는 1/24에 해당되는 양만큼 금이 들어가 있다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21K는 21/24×100=87.5%, 18K는 18/24×100=75%, 14K는 14/24×100=58.3%의 금 함량을 나타내며 24K는 불순물이 전혀 함유되지 않은 순금을 의미한다. 순금의 경우 강도가 약해 쉽게 변형될 여지가 있어 실용성을 높이려고 다른 금속을 섞는다. 다른 금속의 함량 정도에 따라 21K, 18K, 14K 등으로 표시한다.

21K, 18K, 14K 등은 고유한 특징이 있어 쓰임새도 다르다. 21K는 인장강도가 매우 크며 18K는 색상과 경도'강도가 모두 우수해 반지, 브로치 등 금장식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14K는 금과 구리의 합금 비율이 보통 3대1인데 니켈 1% 미만을 합금하면 더욱 좋은 성질을 얻게 된다고 한다. 탄성률이 좋아 보석 장식품과 만년필의 펜옥 재료로 쓰이며 내산성도 우수해 치과용으로 사용된다

금의 순도를 %로 표시하는 경우도 있다. 영화에서 많이 보는 막대 모양의 금괴 순도는 보통 99.9%의 백분율로 표시되는데 이것을 '포나인'(4 nine)이라고 부른다. '9가 네개가 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 천분율로 순도를 나타낸 단위를 화인니스(finess)라 한다.

금을 거래할 때 사용하는 단위도 다양하다. 금괴의 경우 그램(g)이 기준이 된다. 국제적인 금형제도에서는 1트로이 온스( 31.1035g)가 기준단위로 사용된다. 우리나라에서 오랫동안 돈(3.75g)이 사용되었으나 2007년 7월 1일부터 법정계량제도 선진화 정책에 따라 돈 대신 그램(g)이 사용되고 있다.

이경달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