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4년 오늘, 일본 연합함대가 뤼순(旅順)항의 러시아 함대를 선제 공격함으로써 러일전쟁의 막이 올랐다. 러일 육군은 뤼순항이 내려다 보이는 해발 203m 고지를 놓고 혈전을 벌였다. 공격부대인 제3군 사령관은 노기 마레스케(乃木希典'1849~1912) 대장이었는데 이기고도 웃지도, 울지도 못할 상황을 맞는다.
일본군은 무모한 돌격만 되풀이하다 러시아군의 토치카에 의해 무려 6만명의 사상자를 냈다. 시체가 산을 이뤘고 노기도 초급장교인 두 아들을 잃었다. 승자가 패자보다 더 큰 피해를 입은 희한한 전쟁의 주인공이었다. 귀국 때 유가족들이 항의하러 몰려왔다가 노기가 든 두 아들의 유골함을 보고 발길을 돌렸다고 한다.
지휘를 하면 안되는 무능한 장군이지만 정권을 잡은 죠슈번(현 야마구치현) 출신이기에 중용됐다. 1877년 세이난(西南)전쟁 때 연대장으로 출전했다가 반란군에게 군기를 빼앗길 정도였다. 종전 후 할복하려다 메이지 왕의 만류로 참았으나 메이지가 죽자 부인과 함께 할복했다. 돌격 정신과 할복 때문에 현재도 극우주의자들에게 숭앙받는다. 그런데 노기의 조상은 임진왜란 때 포로로 잡혀간 조선인이라니 뭔가 모르게 우스꽝스런 인물임에 틀림없다.
박병선 논설위원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