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 중반기에 들어선 이명박 대통령이 정치 선진화, 당내 화합, 역동적 공직 사회 등 많은 화두를 던졌다. 25일 취임 2주년을 맞아 열린 정몽준 대표 등 한나라당 당직자 초청 오찬간담회서였다. 스스로도 "2주년 행사가 이것 하나여서 길게 말씀 드렸다"고 할 정도로 다양한 분야에 대한 생각을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우선 남은 임기의 중요 과제로 정치 선진화를 꼽았다. "선거법을 개혁해야 되고, 행정구역 개편을 한다든가, 또 제한적이지만 헌법에 손을 대는 과제가 있다"며 "어떻게 보면 정치를 선진화시켜야 되는 기본적 과제다"고 했다. 이른바 '근원적 처방'을 재차 강조한 것으로 보인다.
호흡을 맞춘 듯 여권은 개헌을 주창했다. 이재오 국민권익위원장은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금년 연말까지는 (개헌을) 해야 되지 않겠느냐"고 했다. 정몽준 한나라당 대표도 오찬에서 "개헌 논의에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앞서 주호영 특임장관은 17일 국회에서 "이 대통령으로부터 개헌 논의에 대비하라는 지시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대통령이 집권 3년차를 맞아 개헌을 언급해 개헌에 대한 강력한 의지를 갖고 있는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자 청와대는 서둘러 '진화'에 나섰다. 김은혜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정치 선진화를 강조한 원론적 언급"이라고 해명했고, 이동관 홍보수석도 예정에 없이 기자실을 찾아 "개헌에 힘을 줘 말한 게 아니다"라고 했다.
하지만 여당 내 친박계와 야당은 반발했다. 친박계는 현재의 대선 구도를 흔들려는 의도가 있는 게 아니냐는 의심을 감추지 않았고, 민주당은 "개헌이 집권 세력 내의 정파 간 이해 관계를 위해 이용돼서는 안 된다"는 논평을 내놓았다.
하지만 세종시 문제가 일단락되고 6월 지방선거가 끝나고 나면 개헌 논쟁이 본격적으로 불붙을 것이란 예상이 많다. 일부에서는 7월 17일 제헌절이 직접적 계기가 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내년으로 넘어가면 총선과 대선을 앞두고 있어 논의 자체가 힘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당내 화합도 어느 때보다 강조했다. "우리가 심하게 토론하고 싸우더라도 '그래도 사람은 괜찮다'며 허허 웃을 수 있다는 마음이어야 한다. 가슴에 맺히는 말은 적게 했으면 좋겠다"고 했다. 또 G20 정상회의를 언급하며 "만나보지도 않았고 관계가 없던 사람들과도 대화하고 공조했는데, 한나라당이 공조 못할 이유가 뭐가 있겠느냐"고 지적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나라당이 정권을 갖고 있고 이 다음에 또 정권을 창출하겠다고 하면 책임 정당으로서 일해야 된다"며 "비 온 뒤에 땅이 굳어진다는 속담이 있다. 힘을 합쳐서 좋은 성과를 거두고 국민에게 봉사하는 자세를 가질 때 국민들이 우리를 사랑하지 않겠느냐"고 반문했다.
이상헌기자 davai@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