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南-北, 최악상황 피해야"…시민들, 수위조절 촉구

해외서도 "서로 자제" 잇따라

정부가 천안함 침몰 사고를 북한의 군사 도발로 규정하고 북측이 26일 남북관계 전면중단을 포함한 8개의 행동조치를 취하면서 한반도에 위기감이 조성되고 있다.

국민들은 "이러다가 큰 일이 일어나는 것 아니냐"며 불안해 하고 있고 미국 워싱턴포스트(WP)는 26일 "무력 충돌의 위험을 고조시키고 20년 이상 만에 한반도에 가장 심각한 위기를 낳고 있다"고 보도할 정도로 세계 각국에서도 한반도의 긴장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관계기사 2·12면

특히 25일 한때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전투태세 돌입을 명령했다는 미확인 보도가 나오면서 국민들 사이에는 북한 전쟁선포설이 유포되기도 했다. 누리꾼들은 북한 전투태세 돌입 명령이라는 미확인 보도를 기반으로 북한이 전쟁을 선포했다는 유언비어를 마구 퍼 날라 혼란이 있었다.

이런 위기감 때문에 시민들은 남북 모두 신중하게 대처해 최악의 사태로 번지는 것은 막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최우형(38·대구시 수성구)씨는 "정부의 사건 조사 결과 발표가 사실이고 그에 맞춰 북한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한다 해도 한반도에서 다시 전쟁이 벌어지는 일만은 막아야 한다"며 "다른 나라와 보조를 맞춰 북한을 압박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방법"이라고 말했다.

택시기사 이진태(46)씨는 "북한에 단호히 대처를 해야 한다지만 행여 대규모 무력 충돌이라도 빚어지면 우리는 삶의 터전을 잃어버리는 것 아니냐"며 "국민의 생명을 지키기 위해서는 정부가 대응 속도와 수위를 잘 조절해야 할 것"이라고 했다.

세계 각국에서도 남북이 무력 충돌로 번지는 상황을 우려하고 있다. 유럽연합(EU)과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회원국들은 26일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각료급 회의에서 한반도 상황을 논의한 뒤 한반도의 지속적인 안전과 평화 증진을 위해 모든 당사자들이 자제할 필요가 있다고 주문했다.

채정민기자 cwolf@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