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 새로 난 꽃과 잎들 사이
그것들과 나 사이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무슨 길을 걸어서
새파란
새파란
새파란 미소는,
어디만큼 가시려는가
나는 따라갈 수 없는가
새벽 다섯 시의 감포 바다
열 시의 등꽃 그늘
정오의 우물
두세 시의 소나기
미소는,
무덤가도 지나서 저
화엄사 저녁 종 지나
미소는,
저토록 새파란 수레 위를 앉아서
나와 그녀 사이 또는
나와 나 사이
미소는,
돌을 만나면 돌에 스며서
과꽃을 만나면 과꽃의 일과로
계절을 만나면 계절을 쪼개서
어디로 가시려는가
미소는,
웃음이 다소 범박한 세속의 방식이라면 미소는 조금 더 상승의 기류라 하겠다. 물론 이때의 상승은 수직이 아니다. 미소는, 온갖 불순물을 걸러내고 소리마저 넘어선 염화시중(拈華示衆)의 나라이다. "저 새로 난 꽃과 잎들 사이/ 그것들과 나 사이"에 나누는 고요한 눈빛의 메시지. 그러니까 미소는, 입술의 영역이 아니라 눈의 차원인 것이다. 천리안이거나 축지법이거나, "새파란" 미소가 만물 위/사이를 종횡무진, 미끄러지듯 스쳐간다. 미소가 닿는 곳마다 때죽나무 꽃그늘처럼 환해진다. "미소는 어디로 가시려는가" 하고 거듭 던지는 시인의 물음이란, 사실은 독자에게 내미는 산수국의 헛꽃 같은 것이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위안부 합의 뒤집으면 안 돼…일본 매우 중요"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