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전 광우병 사태 때는 미국 소나 한우나 도매금으로 같이 취급하며 외면하더니 올해는 구제역 때문에 닥치는 대로 살처분해댄다. 애지중지 기르던 소 사십여 마리를 살처분한 농부가 자살했다는 안타까운 소식도 들린다. 자식같이 키우던 소를 무더기로 땅에 묻는 농부의 심정이 오죽하겠는가! 작년 초 이충렬 감독의 다큐멘터리 영화 '워낭소리'에서 삼십 년간 노인의 친구였던 소가 죽은 후에 화면에 클로즈업된 노인의 멍한 눈빛이 잊히지가 않는다.
우리들 삶의 가까이에서 한 식구처럼 대접받던 예전의 소 처지에 비하면 요즘의 소 신세는 말이 아니다. 지금은 대부분 육우 용도에 그치지만 얼마 전까지만 해도 소는 농가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존재였다. 농기계가 본격적으로 보급되기 전에는 큰 일꾼이었고 일 년에 한 번씩 낳는 송아지를 통해서 돈 마려운 농가에 살림 밑천 역할을 톡톡히 했다. 소의 역할이 이러하니 소에 대한 대접은 말할 것이 없다.
삼시 세 끼 먹는 것은 물론이고 거처하는 소 외양간까지 어지간한 사람보다 더 귀한 대접을 받았다. 사실 애들 많은 집의 다섯째나 여섯째 정도 되면 부모들의 관심에서 멀어져 있고 제때 밥을 먹었는지, 안 먹었는지는 부모들의 중요 관심사가 아니었다. 그러나 집에 기르던 소에게 제때 소죽을 안 먹였거나 굶기면 집안에 난리가 났다.
간혹 형제들 간에 싸움이 나서 어느 놈의 눈퉁이가 방팅이가 되어도 부모들은 "종나구들 밥 처먹고 할 짓 없어서 싸움질이나 한다!"하고 고함 한 번 치면 그만인데 만약 맞은 놈이 분풀이로 소에게 주먹질이라도 하는 날에는 "야 이놈으 손아! 와 죄 없는 소를 때리노. 소가 니보고 뭐라 카드나?"하며 소 편을 들고 소 때린 죄로 부지깽이 세례 정도는 감수해야 했다.
그뿐인가? 네댓 명의 형제들이 한방에 우글대며 서로 아랫목을 차지하려고 아우성을 치고 사생결단으로 이불자락을 끌어당기며 잘 때도 소는 보릿짚을 푹신하게 깔아 놓은 일인실 외양간에서 두툼한 외투까지 등에 걸치고 자니 소 팔자가 우리들 팔자보다 조금도 못하지 않았다. 소가 임신하면 대접은 더 확실해서 허연 메주콩을 한 바가지나 소죽에 넣어주니 소죽이 콩 반 여물 반이다. 허연 콧김을 뿜으며 맛있게 콩 섞인 소죽을 먹어대는 소를 보면 부럽다 못해 샘이 나서 엄마 몰래 소의 옆구리를 한방 쥐어박고 쉽지만 그 순한 눈을 보고 슬그머니 손을 내리고 만다.
가끔씩 소에 관한 뉴스를 들을 때면 오랜 친구 소식을 듣는 것처럼 반가운데 요즘에는 자꾸만 좋은 소식보다 안 좋은 소식이 더 많은 것 같아 안타깝다. 오랜 세월 동안 함께해 온 소와의 인연을 사람들이 너무 쉽게, 또 너무 빨리 바꿔 버려서 그런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
㈜대경대표 최동욱
































댓글 많은 뉴스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경찰, 오늘 이진숙 3차 소환…李측 "실질조사 없으면 고발"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
한동훈 "지방선거 출마 안한다…민심 경청해야 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