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65억명에 대구 브랜드 노출" 조해녕 대회조직위 공동위원장

"유서 깊고 잘 알려진 독일 베를린과 일본 오사카도 3수 끝에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유치했는데, 대구는 1차 도전 만에 유치했습니다. 하늘이 준 대구 도약의 기회를 절대 놓쳐선 안 됩니다."

2011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조직위원회 조해녕 공동위원장(전 대구시장)은 대회 성공 개최를 확신했다. 모든 준비가 계획대로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고, 정부의 관심도 높아지면서 예산 확보도 기대만큼 지원돼 거칠 게 없다는 것. 다만 대회 기간 중 얼마나 많은 관중이 경기장을 찾을 것인가가 유일한 걱정거리지만 이 문제 역시 자신하고 있다.

"유치 당시 '육상 불모지인 한국에서 대회가 개최되면 관중 동원에 어려움을 겪지 않겠느냐'는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의 지적에 자신 있게 답한 말은 다름 아닌 '우리 민족의 저력'입니다. 한국인은 한번 목표를 정하면 목표 성취를 위해 '할 수 있다'는 정신으로 똘똘 뭉친다고 큰소리쳤습니다. 국민, 시민의 애국심, 애향심이 충분히 경기장을 가득 채워 줄 것으로 확신합니다."

조 위원장은 2003년 세계 대학생 스포츠제전인 대구 유니버시아드대회를 성공 개최했는데 세계 3대 스포츠 대축제인 세계육상선수권대회엔 당연히 시민, 국민의 호응이 더 클 것이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고 했다.

준비 과정도 순탄하다. 유치 후 수년에 걸쳐 대구의 철저한 준비와 진행, 시설 및 운영 능력을 확인하고 감탄한 IAAF 회장, 사무총장 등을 비롯한 조직위원회 관계자들이 대구에 전폭적인 신뢰를 보내면서 중간보고까지 건너뛰는 전례 없던 일까지 있었다는 것. 조 위원장은 "IAAF 관계자들이 역대 어느 대회보다 잘하고 있다는 칭찬을 아끼지 않고 있다"고 자랑했다.

조 위원장은 또 이번 대회를 계기로 한국은 육상 불모지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강조했다. 육상 종목에 스타가 없다보니 국민적 열기가 없고, 정부도 관심을 갖지 않으면서 육상 종목에 지원하지 않은 악순환이 반복됐지만 대구 대회에 맞춰 과감한 지원·육성책을 내놓은 만큼 '육상도 잘하면 돈도 많이 벌고 스타도 될 수 있다'는 인식이 생겨 선수 열기, 스타 탄생으로 이어지면서 국민적인 육상 붐도 일어날 것이라는 것.

세계육상선수권대회는 명실상부한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여서 그 파괴력도 무시할 수 없다.

조 위원장은 무엇보다 이번 대회가 한국과 대구의 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유럽, 미주, 아프리카 등에선 육상이 최고 인기 스포츠 종목 중 하나여서 최소 65억 명 이상의 세계인이 이번 대회를 시청할 것으로 보이는 만큼 대구를 세계 속에 알릴 수 있는 다시없는 절호의 기회라는 것. 조 위원장은 "이번 대회가 끝나면 대구의 브랜드 가치는 확실히 올라간다"며 "지역 경제인들도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개최한 도시로서 인정받은 대구의 브랜드 가치를 활용해 경제 활동을 하면 분명히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고 내다봤다.

이호준기자 hoper@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