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어떻게
관악산이 웃는다고 쓰고
가지가 찢어지게 달이 밝다고 쓸 수 있었나요
개미의 행렬을 지켜보면서
인생은 덧없다고 쓸 수 있었나요
음악은 고통 받는 영혼들을 위해
만들어진 것이라고 쓸 수 있었나요
당신은 또 어떻게
나무에는 강렬한 향기가 난다고 쓰고
꽃이 구름처럼 피었다고 쓸 수 있었나요
삶을 그물이라고 쓰고
환상이 삶을 대신할 수 없다고 쓸 수 있었나요
당신은 다시 어떻게
환상도 사실이라고 쓰고
가난도 때로는 운치가 있다고 쓸 수 있었나요
자기 자신이 인도하는 길을 가는 것보다
더 어려운 일은 없다고 쓰고
당신의 의지가 당신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라고 쓸 수 있었나요
당신의 문장들에 많은 빚을 졌다고
나는 쓸 수밖에 없습니다
'문장들'이란 언어입니다. 조물주가 세상을 만드실 때에도 바로 이 '말씀'이라는 언어로 더없이 위대한 '창조'를 행하셨다지요. '언어는 존재의 집'이라는 하이데거의 명제를 굳이 인용하지 않더라도, 언어는 우리의 전존재를 '들어올리는' 창조와 승화(昇華), 포월(包越)의 기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언어는 또 존재의 의지를 표상하는 것이어서, 우리로 하여금 "자기 자신이 인도하는 길을 가"게 해 주고, 스스로의 "운명을 결정"하기도 합니다. 침묵의 언어(?言)까지 포함하면, 언어 이전에는 사유도 존재하지 않는다는 게지요. 언어에 의해 비로소 존재가 인식되고, 자연과의 관계가 맺어지고, 만상의 우주가 만들어진다는 겁니다. 이렇듯 언어에는 '존재의 본질'이라 할 만한 게 담겨 있습니다.
'시 쓰기'란 언어를 통해 대상과 내가 하나(不二)임을 확인하는, 나아가 '인드라망'의 '관계 맺기'를 이루어 가는 과정입니다. 그 어떤 존재도 '문장들'에게 "많은 빚을" 지지 않은 게 없습니다. 자연스레 영화 '시(詩)'를 떠올리게 하는 시편입니다.
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