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채널] 전 지구적 식량 위기가 올 것인가

EBS '다큐10+' 8, 15일 오후 11시 10분

러시아가 곡물수출 금지 조치를 발표하면서 식량 위기에 대한 우려가 다시 고개를 들고 있다. 2008년, 곡물가 급등으로 홍역을 치렀던 세계 각국은 대책 마련을 서두르는 중이다. 식량 위기에 대한 우려는 왜 끊임없이 터져나오고 있을까?

8일과 15일 오후 11시 10분에 방영되는 EBS '다큐10+' 식량 전쟁 2부작은 전 지구적인 식량 위기의 가능성과 식량 수급 시스템의 문제를 진단한다.

8일에 방영되는 1편 '2050년, 식량 위기(If Food Runs Out)'에서는 현재의 식량 수급시스템이 유지될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펼쳐 보인다. 지금부터 40년 후인 서기 2050년, 세계 인구는 90억을 넘어서 있다. 곡물 수요는 해마다 늘어나지만, 잇단 기상 이변으로 곡물 생산은 감소한다. 시카고 상품거래소의 곡물 가격은 연일 최고치를 경신하고 굶주린 이들은 곡식창고를 습격한다.

식량 위기를 부추기는 요인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으며, 식량 위기의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어떤 대책이 필요한지, 그리고 각국이 어떻게 식량 위기에 대비하고 있는지도 함께 알아본다.

15일에 방송되는 2편 '30억의 양식, 쌀의 위기(Ricejacking)'는 국제 쌀 시장의 모든 것을 파헤친다. 국제 쌀 시장은 어떤 사람들에 의해 지배되며 쌀을 자급하던 국가들이 쌀 수입국으로 전락한 이유는 무엇일까? 2008년 곡물 위기를 겪었던 아프리카 국가 말리는 어떤 대책을 세웠고 그 대책은 어떤 명암을 갖고 있을까? 세계 인구 절반의 주식인 쌀이 어떻게 거래되고 있는지를 확인하며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식량으로 쌀이 대접받기 위해서는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알아본다.

조두진기자 earf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