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축제도 '식후경'

담백한 헛제사밥'고기의 참맛 안동한우

유림의 정신이 오롯이 살아있는 안동은 먹을거리에서도 옛 선비들의 생활과 얽힌 일화를 담고 있는 음식들이 많다. 특히 헛제사밥과 건진국수는 안동을 대표하는 전통음식이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들어 안동에서 유명해진 먹을거리로는 안동찜닭과 간고등어정식, 안동의 유명 축산물을 이용한 안동한우갈비가 있다.

◆ 헛제사밥

이 음식의 유래는 두가지 설이 있다. 유명 서원이 많은 안동에서 유생들이 쌀이 귀한 시절 제사음식을 차려놓고 축과 제문을 지어 풍류를 즐기면서 거짓제사를 지낸 후 제수음식을 나눠먹었다는 설과 평소 제사를 지낼 수 없던 평민들이 쌀밥을 먹고 싶어 그냥 헛제사음식을 만들어 먹는 데서 시작했다는 설이다.

안동시 상아동 안동댐 옆 '까치구멍집'은 헛제사밥 음식의 원조 격에 해당된다. 30년 경력의 주인 서정애(55) 씨가 최상의 재료를 이용, 양념 없이 재료 본래의 맛을 살린 헛제사밥 상차림을 내놓고 있다. 일반 헛제사밥(7천원)과 양반상(1만1천원) 두 종류의 헛제사밥이 제공되는데 제철 나물을 주로 사용해 정갈하고 담백한 것이 특징이다. 이외에 상아동 일대에만 11곳의 헛제사밥과 간고등어정식 식당이 있어 안동의 대표음식을 맛보기에 안성맞춤이다.

◆ 안동국시

여름철 별미인 건진국수와 겨울철 별미인 누름국수가 있다. 건진국수는 밀가루와 콩가루를 거의 같은 비율로 섞어 홍두깨로 얇게 밀어 물에 삶아 낸 다음 찬물에 여러번 헹궈 사리를 만들며 누름국수는 애호박이나 채소를 넣고 장국에 삶아 먹는다.

안동시 북문동 웅부공원 옆 먹을거리 골목에 있는 '안동국시'집은 안동시내에서 몇 안 되는 안동국시 전문점이다. 이 집은 진천 송씨 종부로 시집 온 주인 김유조(50) 씨가 30년 가까이 이곳에서 전통방식대로 만든 건진국수와 누름국수를 손님들 앞에 내놓고 있다. 구수하고 장국은 개운한 것이 특징이다. 조밥과 쌈채소, 곱게 간 꽁치젓갈이 따라 나온다. 건진국수, 누름국수 4천500원.

◆ 안동한우갈비

안동은 예로부터 우시장이 유명했다. 이 지역에서 자란 한우는 깨끗한 물과 공기를 먹고 호흡하며 자라 고기 맛이 일품이다. 특히 푸짐한 상차림이 일품인 한우갈비석쇠구이와 육회는 미식가들의 발걸음을 잡아당기기에 모자람이 없다. 참맛을 보려면 안동시 먹을거리 골목인 운흥동 한우갈비동네를 찾는 것이 좋다. 14개의 한우갈비전문점이 밀집해 저마다 특색 있는 맛을 자랑하고 있다. 이 중 '안동한우갈비'는 갈비살을 참숯석쇠에 구워 먹게 한 다음 갈비뼈만을 모아 찜을 해 내는데 그 맛이 매콤하면서도 구수해 인기를 모으고 있다. 갈비는 대개 200g 기준 1인분에 1만7천원선이다.

◆ 안동찜닭

안동찜닭은 토막 낸 닭과 당면에 갖은 채소를 넣고 간간한 진간장에 물엿 등을 첨가한 다음 청양건고추로 매운 맛을 더한 음식으로 매콤한 맛과 달콤하면서도 간간한 맛이 조화를 이뤄 자주 먹어도 물리지 않는다. 음식의 유래는 안동구시장에서 닭을 튀겨 팔던 할머니들이 다른 메뉴를 고민하다가 1970년대 후반부터 본격적으로 만들어냈다는 설이 유력하다.

현재 안동구시장 서문 입구에서부터 안쪽까지 안동찜닭을 전문으로 하는 가게는 17군데. 서문 입구에 있는 '종손찜닭'을 비롯해 구시장 내 각각의 안동찜닭 가게들이 저마다 고유의 맛을 갖고 있어 단골 연령층도 각각 다르다. 가격은 2만원 내외.

안동'엄재진기자 2000jin@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