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실'(居室)이란 말은 영어 'living room'에서 따온 것이다. 옛날 양반집에는 사랑방이 있었을 뿐, 가족들이 모이는 공간이라는 뜻의 거실은 존재하지도 않았다. 서양도 마찬가지다. 응접실(parlor), 손님실(drawing room)만 있었으나 20세기 들어 여성잡지 편집자 에드워드 보크(1889~1919)가 '가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 이 말을 처음 썼다.
그는 여성잡지의 제왕이었다. 요즘 병원, 약국, 미용실까지 비치돼 있는 여성잡지를 처음으로 널리 보급시킨 원조다. 투표권, 요리, 환경 등 여성을 위한 이슈를 개발해 잡지 '레이디스 홈 저널'을 미국 전체에 유행시켰다. 한 해 100만 건이 넘는 편지가 잡지사에 쏟아질 정도였다.
1889년 오늘, 네덜란드에서 태어나 6살 때 가난에 못 이겨 미국으로 이주했다. 사환과 신문팔이를 거쳐 고학으로 언론인이 됐고 그 당시로는 획기적인 사고로 '세상의 반쪽'인 여성을 위한 잡지를 만들었다. 가난한 이민자에서 성공한 잡지 경영자, 자선사업가가 될 수 있었던 것은 할머니의 말 한마디를 금과옥조처럼 여겼기 때문이다. '너로 하여금 네가 있는 곳을 달라지게 하여라.' 박병선 사회1부장
































댓글 많은 뉴스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
李대통령 지지율 51.2%, 2주째 하락세…민주당도 동반 하락
장동혁, '아파트 4채' 비판에 "전부 8억5천…李 아파트와 바꾸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