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제역 청정지역'으로 손꼽히던 경상북도 지역에서 사상 처음으로 돼지와 소에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축산 웅도(雄道)'인 경북에 막대한 타격이 우려되고 있다.
구제역 발생에 따라 가축 살처분에 따른 직접 피해는 물론 가축 출하 중단 및 소비자들의 돼지·쇠고기 기피 등에 따른 간접 피해까지 그 파장이 가늠할 수 없을 정도로 크기 때문이다. 특히 돼지에 이어 소에서도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경북지역 전역으로 구제역이 확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등 구제역 사태가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구제역 발생 및 피해액은 총 48건 6천700여억원으로 2000년 15건 3천여억원, 2002년 16건 1천400여억원, 올해 17건 2천300여억원으로 집계돼 구제역으로 인한 피해가 큰 실정이다.
경북도에 따르면 29일 안동시 와룡면 서현양돈단지 2개 농장의 돼지가 구제역 판정을 받은데 이어 이곳에서 8㎞가량 떨어진 안동시 서후면 한 농가의 한우 5마리도 30일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는 등 구제역이 확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경북도와 안동시는 30일 오전 9시 현재 3천100여 마리의 돼지를 살처분했으며, 구제역 발생지점에서 반경 10㎞ 이내 870여농가에서 사육 중인 돼지와 소 등 모두 7만여 마리를 살처분할 계획이다.
돼지·소 전염병인 구제역이 경북에서 처음으로 발생, 확산됨에 따라 경북지역 축산 농가와 방역 당국이 초긴장 상태에 빠졌다. 경북지역에는 전국적으로 축산농가가 집중된 곳이어서 구제역이 확산될 경우 큰 피해가 우려된다. 경북도에 따르면 경북지역 한우·육우 사육두수는 63만여 마리로 전국에서 가장 많고, 돼지(140여만 마리)와 젖소(4만여 마리)는 각각 전국에서 3번째로 많다.
※ ▶ 버튼을 클릭하면 동영상을 보실 수 있습니다.
가축을 살처분해야 하는 농가는 물론 경북지역 전체 축산농민들의 가슴도 타들어가고 있다. 연말 송년 모임 등으로 소나 돼지고기 수요가 늘어나는 시기인데 구제역 발생으로 자칫 소비 감소로 이어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대한양돈협회 최재철 경북도협의회장은 "경북에서 사상 처음으로 구제역이 발생함에 따라 지역 양돈 농가는 걱정이 태산"이라면서 "방역을 철저히 해 더 이상의 확산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양돈 농가뿐만 아니라 한우 농가들의 우려감도 커지고 있다. 경북지역 한우 사육두수는 전국의 25%를 차지하기 때문에 구제역이 더 확산될 경우 막대한 피해가 불가피하다.
경북도와 안동시는 구제역 확산 방지를 위해 방역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예비비 15억원을 투입해 위험지역과 경계지역에 통제초소를 설치해 사람과 차량의 이동을 통제하고 있다. 또 구제역 발생 원인에 대해 정밀 역학조사를 벌이는 한편 570여 개 공동방제단을 도내 모든 축산농가에 보내 소독을 벌이고 있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이번 구제역 사태가 최초 발생지역인 안동에서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차단 방역을 철저히 하겠다"고 말했다.
안동·권동순기자 pinoky@msnet.co.kr
모현철기자 momo@msnet.co.kr
영상취재 장성혁기자 jsh0529@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