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과 북유럽의 관현악 작품과 말러의 교향곡 해석으로 유명한 지휘자 존 조바니 바티스타 바비롤리. 1889년 오늘 이탈리아인 아버지와 프랑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난 그는 일찍부터 전문 음악교육을 받아 런던 왕립음악원에서 첼로를 전공했다. 18세 때 생애 최초로 첼로 독주회를 개최했으며 25세 때 지휘에 뜻을 두고 사비를 털어 자신 이름을 딴 '존 바비롤리 실내 관현악단'을 창단했다. 이때부터 지휘 경력을 쌓아가던 중 37세 때 아르투르 토스카니니 후임으로 뉴욕 필하모닉의 음악감독에 취임, 화제가 되기도 했다. 이 시절 그는 미국에서 듣기 힘든 여러 레퍼토리를 공연하는 대담성을 보였으나 언론의 반응은 시원찮았다.
지난해 국내에 자서전 '음악 속의 삶'을 출간한 피아노의 거장이자 지휘자 다니엘 바렌보임은 "오케스트라에 관한 한 내가 아는 대부분은 존 바비롤리에게 배웠다"고 고백할 정도였다. 뉴욕 필하모닉 감독을 마치고 귀국해서는 1954년부터 말러의 교향곡에 손을 대기 시작, 대중화에도 큰 역할을 했다. 바비롤리는 여러 인터뷰에서 혈통상 영국인의 피가 전혀 섞이지 않았지만 스스로를 '코크니'(Cockney'런던 토박이를 일컫는 말)로 지칭하는 것을 무척 좋아했다. 1970년 7월 일본 공연을 준비하던 중 심장발작으로 자택에서 타계, 런던 세인트 메리 가톨릭 묘지에 안장됐다.
우문기기자
































댓글 많은 뉴스
"이재명 성남시장 방 옆 김현지 큰 개인 방" 발언에 김지호 민주당 대변인 "허위사실 강력규탄"
"아로마 감정오일로 힐링하세요!" 영주여고 학생 대상 힐링 테라피 프로그램 운영
李대통령 "박정희 산업화 큰 업적…비판 있지만 공적 누구나 인정" [영상]
"울릉도 2박3일 100만원, 이돈이면 중국 3번 가"…관광객 분노 후기
취임 후 처음 대구 찾은 이재명 대통령, 핵심현안사업 지원 의지 강조(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