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사설] 응급 의료 체계 이대로 방치하다간 큰일 난다

최근 장중첩증에 걸린 여아가 병원을 전전하다 사망한 사건을 계기로 응급 의료 체계 전반에 걸친 재정비와 시설'인력 확충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환자가 종합병원 응급실로 밀려드는데도 이를 감당할 인력과 시설은 턱없이 부족하고, 병원 간 이해관계에다 응급 환자 이송의 전문성 부족 등으로 응급 의료 전달 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고 있어서다. 응급 의료 체계를 이대로 뒀다가는 제2, 제3의 불행한 사태가 누구에게 닥칠지 모를 일이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중증 응급 환자의 병원 내 조사망률(인구 1천 명당 사망률)이 대구가 13%로 전국에서 가장 높고 경북은 12.3%에 달했다. 심근경색'뇌질환'중증 외상 등 3대 응급 환자가 응급실에 머무는 시간도 대구가 평균 7.3시간으로 부산(9.2시간)에 이어 두 번째로 길었다. 그만큼 제때 적절한 치료를 받지 못해 환자가 위험에 처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이다. 이게 '메디시티 대구'의 현실이다.

게다가 낮은 응급실 의료 수가 때문에 종합병원들이 투자를 꺼리고 심지어 수익을 위해 다른 전문병원으로 환자를 제때 보내지 않는 등 환자가 볼모가 되는 일마저 벌어지고 있다. 무턱대고 최상위 응급 의료 기관이나 종합병원에 환자가 몰리는 상황도 문제지만 전문성이 떨어지는 응급 환자 이송 체계로 인해 환자가 위험에 처하는 일이 갈수록 잦아지고 있다.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1339정보센터를 구축하고 응급 환자 진료 정보망을 만들어 놓으면 뭘 하나. 의료 기관들이 신속'정확하게 정보를 전달하지 않고 활용할 의지가 없으니 공염불에 불과한 것이다. 이처럼 지역 종합병원들이 의료 관광이니 뭐니 하며 딴 데 정신 팔린 사이 정작 응급 환자들은 큰 위험에 내몰리고 있는 것이다. 정부와 병원은 실태를 정확히 보고 제도 개선을 서둘러야 한다. 응급 의료 체계를 이대로 방치해서는 안 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