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슥한 밤거리에서
나는 강도를 만났다.
그리고 나는
웃었다.
빈 주머니에서 돈 이 원을 꺼내 들은
내가 어째서 울어야 하느냐.
어째서 떨어야 하느냐.
강도도 어이가 없어
나의 뺨을 갈겼다.
…이 지지리도 못난 자식아
이같이 돈 흔한 세상에 어째서 이밖에 없느냐.
오 세상의 착한 사나이, 착한 여자야.
너는 보았느냐.
단지 시밖에 모르는 병든 사내가
삼동 추위에 헐벗고 떨면서
시 한 수 이백 원
그 때문에도 마구 써내는 이 시를 읽어보느냐.
왜 분노해야 할 시점에서 피식 웃음이 나오는가. 돈 이 원을 내미니 강도가 어이가 없어 도리어 뺨을 갈기더라는 이야기는 또 얼마나 시적인가. 식민지 시대뿐만 아니라 오늘날에도 시인은 여전히 가난하다. 여기저기서 뺨을 맞는지도 모른다. 봄꽃에게 맞고, 이별에게도 맞고, 천박한 자본주의에게 더 세게 맞을 게 뻔하다.
시인이 가난한 이유는 돈이 안 되는 것들만 사랑하기 때문이다. 초사흘 벼린 달을 사랑하고, 도살장에 끌려가는 소의 둥그런 눈을 사랑하고, 세찬 바람만 끊임없는 겨울 밭둑을 사랑하고, 지는 노을 앞에 하염없이 서 있는 시간을 사랑한다. 달이, 소가, 바람이, 노을이 어떻게 돈을 준단 말인가.
댓글 많은 뉴스
대통령실, 추미애 '대법원장 사퇴 요구'에 "원칙적 공감"
지방 공항 사업 곳곳서 난관…다시 드리운 '탈원전' 그림자까지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
李대통령 지지율 54.5%…'정치 혼란'에 1.5%p 하락
정동영 "'탈북민' 명칭변경 검토…어감 나빠 탈북민들도 싫어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