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정치권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신공항, 과학벨트 발언으로 이해득실 계산에 분주하다.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박 전 대표가 "신공항은 대선공약으로 약속한 것", "과학벨트는 대통령이 책임질 것"이라고 한데 대해 수도권과 중앙 언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신공항 무용론'과 '김해공항 확장'은 일단 사그라질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그러나 대구경북과 울산이 과학벨트 유치에 힘쓰고 있지만 박 전 대표의 이번 과학벨트 발언은 충청권에 힘을 실어준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친박계인 유승민 한나라당 의원(대구 동을)은 "신공항과 과학벨트 둘 다 대통령의 공약 사항이었던 것이 분명하고 후보 시절이든, 당선 뒤든 약속을 했으면 약속대로 하는 것이 원칙이라는 이야기"라며 "원론적 차원에서의 입장 표명으로 해석한다"고 말했다. 유 의원은 과학벨트는 충청도로 약속한 것이 사실이니 지키라는 권고고, 신공항은 지역 갈등까지 야기되는 마당이니 발표를 미루지 말라는 압박으로 읽힌다고 해석하면서 "과학벨트의 공약 이행 촉구는 솔직히 지역으로서는 손해"라고 덧붙였다. 또 "대선공약을 지키라는 뜻인 만큼 '김해공항 증설'이란 제3의 방안에 대한 반대의 뜻을 담았다"는 해석도 나왔다.
박 전 대표의 입장 표명으로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게 됐다는 의견도 있다. 지금 상황에서는 차기 대통령에 가장 가까이 다가가 있는 박 전 대표가 지역에 득(得)이 되는 발언을 해주는 것도 좋지만 특정 지역만 염두에 둔 발언을 한다면 대권 후보로서 치명상을 입게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전체의 균형발전을 주장하다 보면 대구경북으로서는 손해 보는 일도 생길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나오는 것이다.
이에 일부는 신공항, 과학벨트 정도의 사안으로 박 전 대표의 '힘'(?)을 소비하는 것은 장기적인 관점에서 손해이기 때문에 "박 전 대표가 침묵하는 것이 오히려 낫다"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이한구 한나라당 의원(대구 수성갑)은 "박 전 대표의 이번 발언은 원론적인 차원에서 두 사안을 법이나 제도가 정한대로 하라는 것"이라며 "박 전 대표가 가장 하고 싶었던 말은 두 사안이 대통령이 결정할 것인데 왜 자꾸 나한테 묻느냐가 아니겠냐"고 말했다.
서상현기자 subo801@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