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경북도청 이전지 "6월까지 떠나라"…주민 반발

대다수가 소작농 "이보상금으론 굶어죽기 십상"

경상북도가 뚜렷한 이주대책도 내놓지 않은 상태에서 6월 말까지 경북도청 신청사 이전지 주민들에게 집을 비워줄 것을 최근 통보해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경북도는 4일 도청 신청사 착공을 위해 안동시 풍천면 갈전3리 주민들에게 토지 및 건물 보상과 함께 ▷아파트 등 전세 입주시 2년간 융자금 이자 보전 ▷인척이나 자녀집 등으로 이주시 2년간 이자보전 등을 지원조건으로 이주를 통보했다.

도청 이전 신도시 예정지에는 현재 571가구 1천500여 명의 주민이 살고 있고, 이 가운데 도청 신청사가 들어설 안동 풍천면 갈전3리에는 32가구 60여 명이 있다.

경북도는 신도시 중 도청 신청사 건립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면서 지난달 공무원과 주민대표 등이 참여한 보상협의회를 구성해 주민 의견을 수렴했으며 조만간 감정평가를 거쳐 보상을 실시할 예정이다.

하지만 주민들은 구제역 사태를 빌미로 보상 협의가 두 달이나 늦어져 충분한 여론수렴을 거치지 않은 상태에서 이주를 통보한 것은 새 보금자리를 마련할 시간도 주지 않을 만큼 촉박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특히 대다수 소작농인 주민들에 대한 보상금이 토지를 제외하고 기껏해야 2천만~5천만원가량에 불과하고 1억원이 넘는 주민은 거의 없어 당장 살길이 막막하다는 것이다.

주민들은 현재 이주민 집단주거단지 조성 등 이주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있지만, 경북도는 도청 이전 신도시 조성 이후 이주민들이 택지를 구입할 경우 30~50% 할인된 가격에 땅을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하는 안을 제시하고 있다.

김모(65) 씨는 "소작농이 땅이 어디 있느냐. 집 한 채에 대한 보상금으로 많아야 5천만원 정도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안동시내에서 작은 집 한 채도 구할 수 없다"며 "석 달 안에 어떻게 살 곳을 마련하느냐"고 말했다.

권모(80) 씨는 "80년 동안 살았던 집이 도청 이전지로 편입돼 보상을 한다지만, 빈손으로 고향을 떠나 어디로 가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 막막하다"고 걱정했다.

경북도 관계자는 "지난달 보상협의회를 구성해 수차례 회의를 열어 주민들의 의견을 최대한 수렴했으며, 이를 도청 이전사업에 최대한 반영할 방침"이라면서 "올해 보상금 지급을 완료하고, 이주민들이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권오석 stone5@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