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대지진이 원자력발전소 폭발사고로 이어지자 20여년 전 발생했던 체르노빌 원자력 폭발사고의 악몽이 재연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우리나라에는 영향이 없겠지만 대응 체제는 갖춰야 한다고 주문하고 있다.
11일 일본 북동부 동쪽 해안을 덮친 규모 9.0의 대지진과 쓰나미로 후쿠시마 원자력발전소에서 폭발사고가 발생, 주민들이 대피하고 피폭자가 발생하는 등 일본 전역에 '방사능 공포'가 확산되고 있다.
한국에도 이웃 나라의 방사성 물질이 바람을 타고 넘어오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시민 이진철(51) 씨는 "체르노빌 사고 당시 멀리 떨어진 곳에까지 영향이 있었는데 가까운 일본에 일어난 폭발이 한국에 영향이 없을 리가 없다"며 "방사능에 노출되면 몇 대에 걸쳐서 피해가 있다는데 걱정된다"고 했다.
이처럼 방사능 공포에 국민들이 떨고 있는 가운데 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일본 대지진이 발생한 11일 오후부터 환경방사능감시 상황반을 운영중이다. 전국 70여 군데 운영 중인 방사선 준위 측정장치의 감시주기를 15분에서 5분으로 단축해 운영하고 있다. 상황반에 따르면 아직 우리나라의 방사능 준위에는 변화가 없다. 사고 지점에서 가장 가까운 울릉도의 방사능 준위 수치는 사고 이전부터 지금까지 139나노시버트(nSv)를 유지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방사능 준위가 1천 나노시버트를 넘어갈 경우 특별 대책을 취한다.
전문가들은 아직 걱정할 단계는 아니라는 입장이다.
백민 교육과학기술부 원자력안전국장은 "아직까지 국내에 영향을 미칠 만큼의 방사능은 누출되지 않았다"며 "바람이 러시아에서 태평양 쪽으로 불고 있어 일본에서 바람을 타고 날아올 가능성 역시 희박하다"고 밝혔다. 백 국장은 "방사능 누출에 대해 구체적으로 단계적 조치를 취할 수준은 아니다. 바람 영향 등으로 환경방사능 수치가 올라가면 비상대응 절차에 따라 조치를 취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일본에서 유출된 방사능이 공기를 타고 우리나라로 넘어올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 우리나라는 방사능 유출 시 비상계획에 따라 비상 조직이 가동돼 사고를 수습한다.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은 "방사능이 유출되면 철저히 외부로부터 몸을 숨기고 행정기관의 통제를 따라야 한다"고 설명했다.
노경석기자 nks@msnet.co.kr
※한국원자력안전기술원의 방사선 비상시 주민행동 요령
▷외출 중인 시민들은 집안으로 대피해 창문 등을 닫고 환풍기와 에어컨 등을 꺼 외부로부터 공기의 유입을 막아야 한다. ▷실내에서 TV나 라디오 등에 주의를 기울이다가 '대피하라'는 통보가 내려지면 곧바로 대피소로 이동해야 한다. 이동시에는 바람의 방향을 등지고 반대방향으로 이동한다. ▷병원이나 요양소에 있는 가족을 데리러 가선 안 된다. 병원이나 요양소에서 먼저 환자들을 비상영향권 외부지역 병원으로 후송하기 때문. 학교나 직장 역시 자체적으로 대피하므로 직접 가족을 찾으러 나서는 것보다 연락을 취하는 것이 안전하다. ▷방사능 비상시에는 행정기관 등에서 공급하는 음식 외에 아무 음식이나 먹어서는 안 된다. ▷방사능에 노출됐을 때는 재빨리 입고 있는 옷을 벗고 깨끗한 물로 몸을 씻어내야 한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