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을 두고 정부부처와 자치단체들이 8개월째 소모전을 벌이고 있다.
대구시가 지난해 8월 구미 도개면 낙동강 상류로 대구취수원 이전 계획을 발표하면서 그동안 기획재정부와 국토해양부, 구미시, 한국개발연구원(KDI) 등이 대립각을 세워왔다.
구미시 범시민반대추진위원회(공동상임위원장 김재영'신광도)는 최근 KDI를 항의방문해 "대구취수원이 구미로 이전될 경우 구미 지역 발전에 엄청난 장애요인으로 대두될 것이 불 보듯 뻔한 일"이라며 "국가공단을 피폐하게 만들고 지역주민의 생존권을 위협하는 등 지역경제의 근간을 뒤흔들게 될 취수원 이전은 반드시 막아야 할 것"이라며 반대이유를 들었다.
이번 방문은 그동안 반추위에서 제기했던 대구취수원 이전과 관련, 문제점으로 제기한 물수지분석에 대해 추궁하고 그동안의 추진 경과와 발표 시기를 확인하기 위해서였다.
KDI 관계자는 "구미시반추위에서 제기한 문제점에 대해 종합적으로 면밀히 검토했으며 최종 용역 결과는 이르면 이달 말쯤 재정부에 보고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이미 3월 초 재정부와 국토부, KDI관계자 회의에서 물 공급량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추위의 물수지분석 자료에 따르면 일선교 지점의 최저 갈수량은 1일 216만t으로 대구취수원에서 일일 최대 115만t(일평균 95만t)을 취수하는 것은 낙동강 유량의 53%에 해당되며, 신설되는 댐의 담수율은 안동댐의 4분의 1 수준으로 낙동강 유지수 확보에 문제점이 있다는 것이다.
반추위 김재영 위원장은 "KDI는 '물이 부족하고 경제성이 없다'는 용역 결과를 하루빨리 발표하라"며 "국토부는 더 이상 짜맞추기식 취수원 이전 계획을 추진하지 말고, 한국수자원공사의 밥그릇 챙기기에 동조하지 말라"고 주장했다.
신광도 위원장 역시 "대구시도 하류지역 주민들의 상수원 수질문제는 철저히 외면하면서 상류지역인 남의 집 마당에 우물을 파겠다는 편협한 이기주의적 발상은 버리고 KDI의 예비타당성 용역을 존중해야 할 것"이라며 "재정부와 KDI도 정치적 외압이나 국토부, 대구광역시, 한국수자원공사의 공작에 휘말려 판단을 흐려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미시 김석동 수도과장은 "국토부는 국가개발정책을 결정하고 실행하는 핵심기관으로서 이번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에 문제가 있다면 겸허히 그 결과에 승복하고 대구취수원의 근원적 해결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구미'전병용기자 yong126@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