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가격 회복과 주식시장 활황에 힘입어 정부'지방자치단체 등의 고위 공직자 10명 중 7명의 재산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위원장 이상배)가 25일 공개한 중앙부처 1급 이상 공무원'자치단체장'광역의원'교육감'공직유관단체장 등 고위 공직자 1천831명의 작년 말 기준 재산은 평균 11억8천만원이었다. 1천239명(67.7%)이 평균 4천만원 정도 늘었는데 전년도 공개에선 증가자가 58%였다.
이명박 대통령은 소유 주택의 가격 상승 등으로 전년보다 4억1천만원 늘어난 55억원을 신고했다. 청와대 참모진의 평균 재산은 16억3천만원이었으며 대구경북 출신인 권재진 민정수석은 25억6천만원, 박인주 사회통합수석은 4억3천만원이었다.
국무위원들의 평균 재산액은 15억4천만원이었다. 김황식 총리는 11억2천만원으로 3천만원 증가했다. 최중경 지식경제부 장관이 29억4천만원으로 가장 많았고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28억원), 현인택 통일부 장관(25억2천만원)이 상위권이었다. 지역 출신인 이주호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아파트 값 상승 등으로 4억원 가까이 늘어난 21억9천만원을 신고, 증가액 1위였고 이재오 특임장관은 7억1천만원을 신고해 최하위를 기록했다.
아울러 감사원의 지역 출신 인사들은 남일호 감사위원 14억9천892만원, 성용락 감사위원 12억8천983만원, 정창영 사무총장 14억7천117만원을 신고했다.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의 재산은 73억8천만원이었다.
광역단체장 중에선 오세훈 서울시장이 1억1천만원 늘어난 58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김두관 경남도지사가 1억2천만원으로 가장 적었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20억7천만원(2천800만원 증가),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12억7천만원(2천만원 감소)이었다. 김 지사는 광역단체장 가운데 유일하게 재산이 감소했다.
한편 고위 공직자 중 최고 재력가는 전혜경 국립식량과학원 원장으로 배우자의 주식 재산 증가 등으로 42억6천만원이 늘어나 332억4천만원을 기록했다. 대구시의회 이재녕 의원은 11억원 늘어난 133억5천만원으로 광역 의원 중 최고 자산가였다.
한편 재산 공개 대상 고위 공직자의 26%(476명)는 직계 존비속의 재산 고지를 거부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6월 말까지 재산 변동 사항을 심사, 허위 혹은 과실로 잘못 신고했거나 부당'위법한 방법으로 재산을 형성한 경우는 과태료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이상헌기자 @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