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동남권 신국제공항 입지선정을 앞두고 정부 및 여권 고위관계자들이 잇달아 신공항 백지화와 그 대안으로 김해공항 확장을 주장하며 애드벌룬(여론 떠보기)을 띄우고 있다.
복수의 정부와 여권 핵심 관계자들은 27일 수도권 언론을 통해 "모든 면을 고려해봐도 신공항을 새로 짓는 것은 필요없는 일"이라며 "대신 김해공항을 증축하면 된다"고 밝혔다.
나아가 국토부 고위 관계자는 박창호 신공항 입지평가위원장(서울대 교수)이 24, 25일 가덕도와 밀양에서 가진 현장실사에서 두 차례나 "1천300만 명이 거주하는 동남권에 제2허브공항이 필요하다"고 말한데 대해 "지역 열망을 이해한다는 차원에서 한 발언에 불과하다"며 신공항 무용론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발언을 했다.
이처럼 일부 정부'여권 고위 관계자와 수도권 언론이 '신공항의 경제성 부족'을 들먹이며 백지화로 여론몰이를 하고 있는데 대해 부산, 경남을 비롯한 5개 시'도와 각 분야 전문가들은 "서울과 수도권의 기득권을 뺏기지 않으려는 몸부림"이라고 반박하고 있다.
정부가 국토가 좁은 우리나라는 고속열차(KTX)의 경우 경부선, 호남선 두 축이면 충분한데도 전국을 거미줄망처럼 연결하기 위해 95조원을 쏟아 붓기로 하는 등 국민의 요구가 없는 사업에도 수십조원을 투입한데서 보듯 동남권 신공항 건설은 의지도, 관심도 없이 원천적인 거부감을 보이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는 사회기반시설이라고 하기에는 어색한'새만금사업'에 22조원, 수도권 광역전철망에 13조원을 들여 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남부권 2천만 명의 핵심 사회간접자본이 될 동남권 신공항 건설에는 정밀한 연구검토도 없이 백지화를 기정사실화 하고 있다.
이에 대해 권창기 울산발전연구원 기획실장은 "수도권 언론과 서울중심주의자들은 동남권에 신공항이 들어서고 자립기반이 마련되면 인천공항의 약화와 수도권에 버금가는 강력한 경제권이 들어서는 것을 두려워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창호 입지평가위원장도 밀양과 가덕도에서 가진 입지설명회에서"경부고속도로, 각종 산업단지 개발 등 지금까지 우리나라의 사회기반시설(SOC)이 비용 대비 편익(B/C) 계산 결과로 결정하지 않아도 거의 성공했다"며 동남권 신공항 필요성을 강조했다.
고려대 이우진 교수 등 토목 및 항공 전문가들은 28일 국토부와 수도권 언론이 '신공항의 경제성이 낮다'는 주장에 대해 "밀양의 경우 활주로 위치를 남쪽으로 약간 옮겨 산지 절토를 10곳만 하고 면적은 7.48㎢로 하면 사업비는 8조5천억원으로 줄고 B/C는 1.05로 높아져 타당성이 충분하다"고 밝혔다.
이 경우 총 절토량은 1억8천600만㎥로 이를 부지 조성에 전량 사용하기 때문에 별도 토취장이 필요없고 토사를 버릴 필요도 없어 공사비를 2조, 3조원 절감할 수 있다는 것이다.
밀양이 지역구인 한나라당 조해진 의원은 27일"밀양시민을 포함해 4개 시'도민들은 밀양으로 결정되지 않을 지에 대해서는 걱정하지 않는다"며 "수도권 이익을 앞세운 청와대와 정부, 일부 정치권의 내부 논리 때문에 신공항이 백지화되지 않을까를 가장 우려한다"고 밝혔다.
이춘수기자 zapper@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어대명' 굳힐까, 발목 잡힐까…5월 1일 이재명 '운명의 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