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MB, 3대 국책사업 조기 '정면돌파'

"어디로 가든 욕먹기 마련 시간 끌수록 사태 더 악화"

동남권 신공항과 국제과학벨트 및 LH공사 이전 문제 등의 3대 국책사업이 이명박 대통령의 발목을 잡고 있다.

이에 이 대통령은 신공항 백지화 결정에 이어 7일 과학벨트위원회 첫 회의를 여는 것을 시작으로 과학벨트 입지 선정을 서두르고 있다. 충청권과 영'호남이 유치경쟁을 벌이고 있는 과학벨트와 경남과 전북이 싸우고 있는 LH공사 이전 문제 등의 갈등 현안을 상반기 중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정리하기로 방침을 굳혔다.

청와대는 더 이상 머뭇거렸다가는 지역 간 대결과 갈등 양상이 이 대통령이 직접 나서도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악화될 수 있다는 위기의식도 내비치고 있다.

특히 청와대는 구제역 파동에 이은 물가상승과 전세대란, 고유가 등에 따른 서민경제 고충과 일본의 독도 교과서문제 및 남북관계 변화 등의 국내외적 현안 대응에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모색하는 동시에 지역갈등을 야기하는 3대 국책사업도 정면돌파하는 것 외에는 다른 방법이 없다는 인식을 하고 있다.

당장 김범일 대구시장과 김관용 경북지사를 청와대로 초청, 오찬을 함께하면서 신공항 백지화 이후의 지역민심을 청취하고 지역발전방안을 건의 받은데 이어 7일에는 허남식 부산시장을 만나 신공항 백지화의 불가피성을 거듭 설명하고 김해공항 활성화 방안과 부산발전대책 등을 청취했다.

신공항 문제에 대해서는 백지화에 대해 반발하는 대구경북의 민심을 다독이는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이고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다른 방안을 마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주목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청와대는 20여일 앞으로 다가온 4'27 재보선에도 바짝 신경쓰고 있다. 재보선 결과에 따라 여권의 진용 개편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관측에 따라 청와대 안팍에서는 신공항 백지화에 책임이 있는 정종환 국토해양부장관과 이재오 특임장관을 포함한 소폭 이상 개각이 단행될 것이라는 소문도 흘러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의 이 같은 정공법은 청와대와 이 같은 민감한 국책사업에 잘못 대응할 경우, 곧바로 레임덕에 빠져 남은 국정운영이 어려워질 뿐만 아니라 내년 총선과 대선에도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는 현실 인식 때문이다.

그러나 청와대는 국책사업에 대해서는 신공항 백지화 때 밝힌 것처럼 정치논리를 배제하고 경제논리와 국익에 입각해서 상반기 중에 모두 처리한다는 원칙을 거듭 강조하고 나섰다. "어느 지역으로 가든지 간에 욕을 먹을 수밖에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는 청와대 관계자의 독백처럼 빠른 시일 내에 정리, 수습에 나서는 것이 국정운영에 덜 부담스럽다는 것이 청와대의 정국 인식이다.

서명수기자 diderot@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